물류대란 확산이 우려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43개국에 압류된 한진해운 선박 문제 해결에 나섰다. 한진해운이 해당 국가 법원에 압류금지를 신청하면 정부가 해당국에 조속한 절차 진행을 요청하기로 했다. 국적 선사의 기존 운항 노선 중 일부 기항지를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정부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김영석 해수부 장관 주재로 기획재정부·외교부·산업통상자원부·고용노동부·국토교통부와 금융위원회·관세청·중소기업청 등 9개 관계 부처가 참석한 가운데 대책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논의했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해수부에서 운영하던 비상대응반을 ‘관계부처 합동대책 태스크포스(TF)’로 확대 개편했다.
TF는 해외 항만에 현지대응팀을 구성해 한진해운 선박이 조속히 입항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진해운이 운항하던 노선에 현대상선의 대체 선박 9척도 계획대로 투입한다.
회의 직후 부산항을 찾은 김 장관은 항만 관련 산업 지원을 위해 법원에 한진해운의 미수채권이 공익채권으로 분류되도록 협조를 요청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공익채권은 회사의 정리 절차나 재산 관리를 위해 쓴 비용에 대한 청구권이다. 회생 절차와 상관없이 변제받을 수 있고 일반 회생채권보다 우선 변제받을 수 있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정부, ‘43개국 압류 선박’ 해결 나섰다
입력 2016-09-04 20:56 수정 2016-09-04 2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