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안철수 전 상임공동대표가 박근혜정부 중소기업 정책의 핵심인 창조경제혁신센터를 “국가 공인 동물원”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안 전 대표는 독일 베를린에서 개막한 국제가전박람회(IFA)를 찾아 국내 B2B(기업 간 거래) 기업의 실패 이유를 설명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기자들과 만나 “B2B 기업의 생명은 첫 납품이 좌우한다”며 “그런데 중소·벤처 기업들이 대기업의 요구로 독점 계약을 맺으면 그때부터 그 대기업만을 위해 일하다 시장 규모도 키우지 못하고 그냥 망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이런 동물원 구조를 깰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는데 전국에 17개 센터를 두고 대기업에 하나씩 독점 권한을 주면서 결과적으로 국가 공인 동물원을 만들어준 것”이라고 지적했다. 창조경제는 박근혜정부의 4대 국정 기조 중 하나인 경제 부흥을 위한 추진 전략이고, 이를 구체화한 것이 창조경제혁신센터다. 안 전 대표는 이를 두고 수도권 충청 영남 호남 등 권역별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만들고 3∼4개 대기업이 공동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제안했었다.
안 전 대표는 카이스트 교수로 있을 때도 강연 등을 통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불공정 관행을 이른바 ‘삼성 동물원’ ‘LG 동물원’에 빗대 비판해 왔다. 그가 내세우는 공정성장론은 이런 관행을 바로잡자는 것이다.
안 전 대표는 또 “정치인들이 세계 혁신 경쟁의 전쟁터에 직접 와서 우리나라 수준이 어떤지, 제도적으로 어떤 도움을 줘야 하는지 알아야 하는데 현장에 안 온다는 건 그만큼 문제가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국민의당 때문에 추가경정예산안이 국회에서 통과됐다”며 “지난 총선을 통해 3당 체제를 만든 유권자들이 만족해하시는 걸로 알고 있다”고 자신감도 내비쳤다.
안 전 대표는 베를린장벽을 방문한 뒤엔 “우리도 통일이 되면 휴전선으로 가로막힌 남과 북이 아무런 차이도 못 느낄 정도로 동화되는 미래를 꿈꾼다”고 페이스북에 썼다. 안 전 대표는 격차해소와 평화통일을 시대정신으로 꼽고 있다.
권지혜 기자, 베를린=심희정 기자 jhk@kmib.co.kr
“국가 공인 동물원”… 安, 창조경제혁신센터 맹공
입력 2016-09-05 0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