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일(현지시간) 4번째 정상회담을 열었지만 민감한 현안에는 여전히 평행선이 이어졌다. 회담에 앞서 양국은 파리 기후변화협정 동시비준을 공표했지만 분위기를 바꿔 놓지는 못했다.
두 정상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공식 개막 하루 전인 3일 저장성 항저우에서 산책을 포함해 4시간여 동안 회담을 가졌다. 남중국해 분쟁,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국 배치를 비롯해 갈등을 빚는 현안에 날선 공방이 이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시 주석은 “남중국해에서 주권과 해양 권익을 확고하게 수호하겠다”며 남중국해 평화와 안정을 위해 미국이 “건설적인 역할을 해줄 것”을 촉구했다고 신화통신이 4일 전했다. 이에 대해 오바마 대통령은 유엔 해양법 협약 준수와 동맹국 안전 확보를 강조했다고 백악관은 전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국제법 원칙과 방해받지 않는 교역, 항행의 자유를 유지하기 위해 지역 내 모든 국가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사드 한국 배치와 관련해 시 주석은 명확한 반대 입장을 전달했다. 중국 외교부는 “시 주석이 중국의 전략적 안보 이익을 실질적으로 존중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시 주석은 특히 “당사국이 한반도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동을 피함으로써 정세 전환을 위해 공동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의 도발은 물론 사드 배치와 한·미 연합훈련에도 우려의 목소리를 낸 것으로 풀이된다. 오바마 대통령의 사드 관련 발언은 전해지지 않았다. 다만 백악관은 “양국 정상이 북한의 핵과 탄도미사일 개발 위협을 재확인했다”며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만 밝혔다.
두 정상은 종교·인권 문제에서도 격돌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중국이 종교의 자유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면서 종교·인권 탄압 문제를 정면으로 거론했다. 이에 대해 시 주석은 “어떤 국가를 막론하고 인권문제를 핑계로 중국 내정에 간섭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맞섰다.
앞서 양국 정상은 새로운 기후변화 협력체제인 파리협정 비준서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게 함께 전달했다.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38%를 차지하는 미·중이 파리협정을 비준하면서 연내 발효 가능성이 높아졌다.
[관련기사 보기]
☞
☞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오바마-시진핑, 4시간 회담·산책… ‘현안’은 평행선
입력 2016-09-05 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