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국경지역 행방불명 주민들 ‘탈북 여부’ 집중 조사

입력 2016-09-02 04:04
북한 국가안전보위부가 행방불명된 국경지역 주민들의 탈북 여부 확인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내부 단속을 강화해 최근 잇따라 전해진 고위층 탈북 소식 등의 영향으로 발생할지 모르는 주민 동요와 추가 탈북 등을 차단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일본 북한전문매체 아시아프레스는 “북한 보위부가 행불자의 탈북 여부 확인을 위해 최근 가족들에 대한 재조사를 시작했다”고 1일 보도했다.

조사를 받은 북한 내부소식통에 따르면 보위지도원(보위부 요원), 보안원(경찰), 인민반장 등으로 구성된 조사단은 지난 20일부터 활동을 시작했다. 가택을 방문하거나 행불자 가족들을 보위부로 불러 행방불명된 날짜와 원인, 행방에 대해 집중 추궁하고 있다. 소식통은 “밀수나 외부 접촉 등 전과기록을 대조해 한국행과 중국행을 분류하는 것 같다”고 전했다.

북한 당국은 1990년대 ‘고난의 행군기’ 이후 국경지역 행불자에 대한 조사를 계속해 왔다. 북에 남겨진 가족들은 보위부나 보안서(경찰서)에 ‘생활난으로 가출한 뒤 행방이 묘연하다’는 핑계와 뇌물을 통해 행불자 가족으로 분류되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탈북자 가족으로 분류됐을 때 받을 강제이주나 추방 등의 불이익 때문이다.

잦은 숙청으로 인한 고위층의 동요가 최근 탈북 행렬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주목되는 가운데 대북인권단체들은 김용진 북한 내각부총리 등 고위층 처형 소식을 ‘북한 정권 내부의 불안정을 보여주는 징후’라고 진단했다.

북한자유연합의 수전 숄티 대표는 미국의소리방송(VOA)에 “잇단 처형이 정권 내 권력자들로 하여금 누구도 안전하지 않다는 사실을 깨닫게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 내 ‘숙청의 통치’가 계속되고 있지만 유독 핵·미사일 분야의 국방 과학자들은 칼바람에서 예외로 대우받고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한 고위층 탈북자는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에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제2경제위원회(군수경제) 산하 국방연구기관 과학자들을 끔찍이 아끼고 있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국방과학자, 기술자들에 온갖 편의를 보장해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4일 북한 매체가 공개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시험 장면에서 김 위원장은 군수공업부 간부들과 맞담배를 피우고 포옹하는 등 파격적인 모습을 연출하기도 했다.

한편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북한 무역대표부의 한 외교관이 지난 7월 거액의 자금을 들고 탈북해 남한에 들어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정보 당국 관계자는 “확인해줄 수 없다”고만 밝혔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