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1일 국회 인사청문회가 결국 야당 의원만 참석한 ‘반쪽 청문회’로 끝났다. 새누리당 의원들이 정세균 국회의장 개회사에 반발해 오후 의사일정을 ‘보이콧’한 탓이다. 야당 의원들은 단독으로 ‘부적합 의견이 다수 있었다’는 내용이 첨부된 인사청문보고서를 채택했다. 반면 전날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반쪽 청문회를 열었던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이날도 여야 이견 속에 조 후보자 청문보고서를 채택하지 못했다.
야당은 이날 조 후보자의 부동산 관련 의혹을 집요하게 물고 늘어졌다. 김 후보자는 연신 “국민 눈높이에 맞추지 못해 송구하다”고 고개를 숙였다. 그러면서도 야당의 의혹제기엔 “법을 어기지 않았고, 특혜를 요구하지 않았다”고 적극 해명했다.
더불어민주당 김한정 의원은 김 후보자가 2001년 농식품부 감독을 받는 CJ그룹 계열사가 분양한 경기도 용인 소재 88평(290㎡) 빌라를 분양가보다 2억원가량 싸게 구입했고, 이 과정에서 매입 금액의 98%를 농협은행에서 1%대 저금리로 대출받은 것을 문제 삼았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는 “농식품부가 식품을 담당한 것은 지난 정부(이명박정부) 이후다. (매입 시점엔) CJ와 관계가 없다”고 설명했다. 저금리 대출과 관련해선 “농협에 영향력을 행사해 금리를 조정할 위치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야당은 김 후보자가 경기도 용인의 93평(307㎡) 아파트에 당시 시세보다 저렴한 1억9000만원에 전세로 입주해 7년간 전셋값 인상 없이 거주한 것도 특혜라고 주장했다. 김 후보자에게 해당 주택을 임대해 준 장수에스엔피 오준영 대표이사는 증인으로 출석해 “최초 계약은 당시 시세대로 했고, 이후 아파트에 6억8000만원의 근저당을 설정해 전세금을 올려 달라 할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새누리당은 오전 질의에서 적극 엄호에 나섰다. 김 후보자 노모가 지난 5월까지 10년간 차상위계층으로 등록돼 건강보험료 혜택을 받았다는 야당 지적에 새누리당 이양수 의원은 “(자식 등이) 직장을 바꾸거나 신분에 변동이 생겨 (부양자가 없는 상태에서) 모친이 재산이 없으면 국가가 (건강보험료를) 내주고 차상위계층이 되는 것”이라고 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부동산’ 청문회… 野, 김재수 장관 후보자 부동산 관련 의혹 집중 추궁
입력 2016-09-02 0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