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의 법정관리 개시 후 관련 업체들이 작업을 거부하는 등 후폭풍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부산시와 부산항만공사(BPA), 부산항발전협의회 등은 ‘부산항 살리기’ 대책 마련에 나섰다.
부산항만공사 등에 따르면 부산신항에서 컨테이너를 고박하는 래싱 업체들이 대금 체불을 이유로 1일부터 한진해운 선박에 대한 작업을 거부하고 있다.
래싱(Lashing)은 선박에 실린 컨테이너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으로 이 작업이 안 되면 컨테이너를 싣고 내리는 게 불가능하다. 한진해운이 기항하는 부산신항 한진터미널의 래싱 업체는 3곳이다.
래싱 작업 거부로 한진해운 선박은 부산신항에 입항해도 컨테이너 터미널에 접안해 하역작업을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화주들이 한진해운 선박에 실린 수출입 화물 찾기에 비상이 걸렸다.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한 부산시, BPA, 해운항만업계 등의 ‘부산항 살리기’도 본격화되고 있다.
시는 경제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해 피해상황 조사와 지원대책을 마련 중이다. 시는 조선·해운 관련 중소기업에 300억원의 특별운전자금을 지원하고, 업체별 최대 2억원씩 총 300억원의 특례보증 지원도 하기로 했다. BPA는 이날 해운·항만업계와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부산신항에 입항 예정인 한진해운 소속 선박의 입출항을 적극 지원키로 했다. 이를 위해 예·도선업체와 줄잡이 업체, 래싱업체 등과 협의회를 갖고 한진해운 선박의 입출항에 차질이 없도록 당부했다. 특히 이날부터 한진해운의 하역작업을 거부하고 있는 래싱업체들에 16억원의 체불대금을 우선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또 선박 입항 시 검수·검증업체 4곳의 체불대금 11억7000만원도 지원해주기로 했다.
부산항발전협의회(공동대표 이승규) 등은 이날 성명을 통해 부산항을 살리기 위한 대안을 제시했다. 이들은 “한진그룹이 1조원 이상 지원했다고 하지만 채권단의 요구액에는 최대 5000억원까지 부족한 자구안”이라며 “한진그룹 조양호 회장이 추가 자구방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한진해운 법정관리 개시 후폭풍] 한진 선박 접안 못하고… 화주들 화물 찾기 비상
입력 2016-09-02 0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