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내년 말부터 삼각지와 충정로 등 도심 역세권에 1587가구의 청년주택이 공급된다. 또 9월부터 청년들의 수요를 반영한 서울형 뉴딜일자리가 확대된다.
서울시는 청년세대 주거난 해법으로 추진중인 ‘역세권 2030 청년주택’ 사업이 본 궤도에 올라 오는 11월 한강로2가, 충정로3가 등 시범사업지 2곳에서 착공한다고 1일 밝혔다.
역세권 2030청년주택은 서울시가 3년간 한시적으로 역세권 민간토지 용도지역 상향, 절차 간소화, 세제 혜택 등을 지원하는 대신 민간사업자가 주거면적 100%를 임대주택으로 지어 청년에게 입주 우선권을 주는 사업이다.
삼각지 역세권 한강로2가 사업지에는 1088가구(공공 371+민간 717), 충정로 역세권 충정로3가 사업지에는 499가구(공공 49+민간 450)가 각각 공급된다. 공공임대는 전용면적 45㎡이하, 민간임대는 전용면적 60㎡이하 규모로 설계된다.
시는 특히 공공기여분을 활용해 청년주택이 들어서는 건물안에 창업지원센터, 교육시설, 공연·전시장 등 다양한 청년 커뮤니티 시설을 설치해 ‘청년마을’로 조성할 계획이다. 청년 커뮤니티 시설로는 한강로2가 사업지의 경우 가까운 청년 인프라시설과 연계한 청년 활동시설을, 충정로3가 사업지는 주변 대학 및 문화예술공간과 연계한 문화시설을 각각 구상하고 있다.
시는 사업을 가속화하기 위해 도시계획, 건축, 교통 등 분야별 전문가 70명(25개팀)으로 구성된 ‘청년주택 통합실무지원단’을 발족하고 KEB하나은행과 협력해 자금력이 부족한 토지주를 위한 전용 금융상품을 이달 중 출시할 계획이다.
시는 우선 1차로 접수된 사업신청서 164건 중 사업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87건에 대해 연내 사업이 가시화될 수 있도록 본격 추진한다. 공급 가능한 청년주택은 2만5852가구다.
아울러 2차 접수분 70건 중 사업 대상으로 검토된 25건과 서울시 자체 조사에 따라 발굴한 78건 등 103건에 대해서는 사업면적, 공급가능 호수 등 세부내용을 면밀히 검토해 조만간 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서울시는 이날 청년활동 지원사업 중단에 따른 후속대책으로 뉴딜일자리 지원, 취업지원, 창업지원, 청년 공간 및 어학 학습지원 등 5개 과제를 담은 청년 지원정책을 발표했다.
청년 참여 일자리 공모 및 파트타임형 일자리 발굴 등 다양하고 규모화된 신규 일자리를 제공하고 저소득, 장기실업자 중심으로 대상자도 확대 선발할 예정이다. 우선 올해 하반기에는 기존 청년뉴딜일자리사업을 확대·발굴해 추가로 일자리를 제공하고 내년에는 공모를 통해 청년에게 실제 수요가 있고 매력적인 일자리를 다양하게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9월부터 추가 선발하는 뉴딜일자리는 18세 이상 39세 이하 서울청년들이 대상이고 참여기간은 2∼15개월이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 11월 착공한다
입력 2016-09-01 2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