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P, 대북 지원 활동 내년 잠정 중단

입력 2016-09-01 17:54
유엔개발계획(UNDP)이 올해를 끝으로 내년 대북지원 활동을 잠정 중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핵·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조치가 유엔 기구들의 인도주의적 대북지원 사업에도 영향을 미친 결과로 해석된다.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1일 “오는 6일부터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리는 ‘유엔개발계획, 유엔인구기금, 유엔프로젝트서비스국 운영이사회’의 2016년 후반기 정기이사회 심의 안건에 UNDP의 대북지원 활동이 포함돼 있지 않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UNDP는 운영이사회에 올해 12월 31부로 종료 예정인 ‘북한국가프로그램’의 연장을 요청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국가프로그램은 지난해 말로 종결된 2011∼2015년 주기의 프로그램이 1년 연장된 것으로 재연장 또는 새로운 운영주기를 신청하려면 운영이사회의 승인이 필요하다.

UNDP가 프로그램의 연장 및 새 주기 계획안을 제출할 수 있는 다음 기회는 내년 초 예정된 운영이사회의 2017년 상반기 정기이사회다. 하지만 만일 회의에서 이사국 중 이의제기가 이뤄지는 경우 등 변수가 발생하면 9월에 열릴 후반기 정기이사회에서 재심의될 수밖에 없다. 상황에 따라 향후 1년여간 공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RFA는 UNDP가 세계식량계획(WFP), 식량농업기구(FAO), 유니세프 등 평양에 상주하며 대북지원 활동을 하는 6개 유엔 기구를 대표해 조정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엔 내부 소식통은 “북한에 인도주의적 지원을 하는 유엔 기구들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 따른 영향으로 현지 지원 활동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