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은 31일 “용산공원은 국민적 공감대를 통해 국가적 가치를 반영한 미래서울의 심장 형태로 358만㎡가 온전히 회복돼야 한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시청에서 ‘용산공원에 대한 서울시 입장 및 정책 제안’ 발표를 통해 “용산미군기지 반환은 단순한 부지의 반환이 아닌, 100여년 이상 역사적 흐름을 간직한 수도 중앙의 광활한 118만평 대지에 대한 공간주권의 회복인 동시에 정체성의 회복”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용산공원은 몽고, 청, 일본, 미국 등 외국군의 주둔지로 오랫동안 사용돼 민족수난의 역사를 품고 있는 땅이자 제국주의 시대와 냉전시대가 한 장소에 공존하는 세계사적으로 유일한 장소다.
박 시장은 현재 국토교통부가 주도하는 용산공원 조성 방식에 대해 명확치 않은 공원 성격, 반쪽자리 국가공원, 제대로 된 현황조사 없는 성급한 공원조성 계획, 시민소통·공감 외면한 국토부의 일방적인 추진 등 4가지 문제점을 지적했다. 특히 정부선점부지(93만㎡)와 미군잔류부지(22만㎡)를 제외하면 용산공원 조성 면적은 당초 358만㎡ 대비 68%에 불과해 미군기지가 이전하더라도 여전히 외세가 잔존하는 반쪽짜리 공원으로 전락할 우려가 크다고 주장했다.
국토부는 지난 4월 7개 부처의 8개 콘텐츠로 구성된 정부부처별 콘텐츠도입 계획을 발표했으나 나눠먹기식 짜깁기 사업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6월로 예정됐던 콘텐츠도입 계획 심의 확정을 연기했지만 현재까지 뚜렷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박 시장은 공동조사 실시, 국가공원 성격의 명확화, 공원 경계 회복, 반환 및 이전시기 공표, 범정부적인 기구 구성, 시민참여확대 등 6개 사항을 제안했다.
그는 용산기지내 환경오염실태 조사로 오염정화방식, 비용, 주체, 정화기간 등을 논의해야 하고 수많은 유적과 유물 등 역사적 가치가 있는 문화유산도 조사해 가치규명과 세계문화유산 등재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시설 및 미군잔류부지도 공원에 포함되도록 공원부지 경계를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국토부뿐만 아니라 시민, 학계전문가, 국방부, 문화체육관광부, 서울시 등 범정부적인 기구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박 시장은 정부에 용산공원조성특별법 개정과 추진일정 전면 수정을 강력히 요구했다. 국토부는 2017년 8월 공원조성계획 수립, 2018년 실시계획 수립을 완료하고 2019년 착공해 2027년에 완공하는 일정으로 사업을 추진중이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박원순 시장 “용산공원 358만㎡ 온전히 회복돼야”
입력 2016-08-31 2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