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의 법정관리를 앞두고 부산항의 물동량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부산항발전협의회(공동대표 박인호) 등 부산지역 100여개 시민·사회단체와 해운·항만업단체연합 회원 등 2000여명은 31일 부산국제여객터미널에서 ‘한진해운 살리기 범시민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해운·항만업계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국내 1위, 세계 7위의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한진해운이 담당했던 연간 100만TEU(1TEU는 6m 컨테이너 1개) 이상의 환적화물 중 최소 절반이 다른 나라 항만으로 떠나면서 부산항 연매출이 7조∼8조원 줄어들 것”이라며 “정부는 유동성 지원 등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부산상의(회장 조성제) 등 상공계도 성명서를 내고 “산업은행을 중심으로 한 금융권 채권단의 보다 탄력적인 유동성 지원 대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해 달라”며 “한진해운도 국내 해운산업 대표기업으로서 보다 강도 높은 자구방안을 수립하라”고 요구했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이날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진그룹과 채권단, 정부 등은 한진해운의 정상화를 위해 적극적인 회생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부산항만공사는 한진해운 사태로 부산항 전체 물동량의 55%를 차지하는 환적화물 처리를 위한 비상대책 마련에 나섰다. 한진해운은 150척의 선박을 이용해 연간 120만개의 컨테이너 환적화물을, 100여척으로 연간 60여만개의 수출입화물을 처리하고 있다.
[관련기사 보기]
☞
☞
☞
☞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부산항 물류비상… “年매출 7조∼8조 감소”
입력 2016-09-01 0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