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희영(62) 전 조선일보 주필에 대한 검찰 수사가 청와대와 정치권에 의해 떠밀려가고 있다. 검찰은 정치권의 잇따른 송 전 주필 관련 폭로에 난감한 모습이다. 정치적 공방과 거리를 두려고 하지만 청와대가 추가 의혹을 제기하며 검찰을 압박하고 있다. 청와대가 ‘수사 가이드라인’ 수준을 넘어 수사 항목까지 지정해준 모양새가 됐다.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은 30일 남상태(66) 전 대우조선 사장 연임로비 의혹으로 구속된 박수환(58·여) 뉴스커뮤니케이션스(뉴스컴) 대표 개인 및 법인의 자금 흐름을 추적 중이라고 밝혔다. 검찰은 이들의 자금 중 회사 임직원 인건비 등 회사 경비가 아닌 수상한 자금 흐름을 포착해 수사력을 집중시키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송 전 주필 수사에 대해선 “관련 의혹은 다 살펴보겠다”면서도 정확한 언급은 꺼렸다. 검찰 관계자는 “박 대표에 대한 수사를 하고 있다. 차근차근 수사를 밟아가고 있고, 단계를 뛰어넘어서 할 수는 없다”며 원론적 입장만 되풀이했다.
송 전 주필은 박 대표와 함께 대우조선이 빌린 전세기를 이용해 초호화 해외출장을 다녀왔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30일에는 송 전 주필이 청와대 고위 관계자에게 고재호 전 사장의 연임을 부탁하는 로비를 했다는 청와대 관계자의 발언도 나왔다.
청와대와 정치권의 폭로가 계속될수록 검찰의 부담은 점점 커지고 있다. 범죄 혐의를 따라가는 수사 특성상 송 전 주필을 수사하는 것이 불가피하지만 정치적 중립성을 의심받는 일이 벌어질 수도 있다. 실제로 최근 검찰 수사 상황이 여당 의원에게 유출되고 있다는 의혹도 나왔다. 검찰 관계자는 “저희 수사팀과 무관한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윗선 보고 과정에서 정치권으로 전파됐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그럴 가능성이 없다고 확신한다”고 못 박았다.
검찰은 일차적으로 대우조선이나 박씨의 자금이 송 전 주필에게 흘러갔는지 여부를 추적하고, 다음 수순으로 돈의 성격과 대가성 여부를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
[관련기사 보기]
☞
박수환 자금 흐름 추적 통해 송희영 수사
입력 2016-08-31 00:17 수정 2016-08-31 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