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송희영 전 조선일보 주필 의혹을 둘러싼 야권의 이른바 ‘물타기’ 주장에 대해 정면으로 반격하고 나섰다.
3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청와대 관계자는 “송 전 주필이 지난해 청와대 측에 대우조선해양 고위층 연임 부탁을 했으나 인사 등에 관여할 수 없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대우조선해양의 호화 출장 제공 의혹으로 주필직에서 사퇴한 송 전 주필이 사실상 이 회사 고위층의 연임 로비에 나섰다는 언론 윤리문제를 들고 나온 셈이다. 청와대는 특히 결과적으로 고위인사 연임이 이뤄지지 않자 ‘정권 흔들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의심을 하고 있다.
청와대가 특정언론을 ‘부패 기득권 세력’으로 지목하면서 정권 흔들기 시도에 굴복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히는 데는 이런 확고한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애초부터 우병우 민정수석과 관련된 언론의 의혹 제기는 ‘청와대 흔들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간주해 왔다.
하지만 이 문제와는 별도로 청와대가 이석수 특별감찰관의 감찰내용 누설 의혹을 공식 제기한 데 이어 송 전 주필의 연임 로비 의혹을 특정언론에 의도적으로 흘린 데는 고도의 정치적 계산이 깔린 것 아니냐는 야당의 비판도 제기된다. 야당은 청와대가 여론 떠보기 또는 검찰에 수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하고 있다.
청와대는 이 감찰관의 사의 표명과 관련해 우 수석의 거취가 다시 거론되는 데 대해선 전혀 별개의 사안이라고 밝혔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달라진 것이 전혀 없다”고 했고, 다른 청와대 관계자도 “이 감찰관과 우 수석 거취는 전혀 연관성이 없는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박근혜 대통령의 우 수석 안고 가기는 계속될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여기엔 의혹만 제기됐고, 비위가 확인되지 않은 이상 거취 결정은 없다는 박 대통령의 확고한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감찰관의 사표 수리 여부는 시일이 걸릴 것이란 예상도 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이 감찰관의 사표를 수리하지 않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일단 오늘은 사표 수리가 어려울 것”이라며 “앞으로 박 대통령이 사표 수리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내부적으론 사표 수리로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아니며, 검찰 수사상황을 지켜본 다음 결정하겠다는 기류가 감지된다. 이 감찰관이 감찰 내용 누설 등 특별감찰관법을 위반한 의혹이 제기된 만큼 별도의 징계가 필요할 수도 있다는 게 청와대 분위기다.
청와대는 특히 현재 뇌물수수 등 혐의로 구속 기소된 진경준 전 검사장 사례를 면밀히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진 검사장은 검찰 수사 도중 사표를 제출했으나 사표는 수리되지 않았고, 구속 기소된 이후 현직 검사장으로는 처음으로 해임 처분을 받았다. 이 감찰관이 ‘중대한 위법행위’를 저지른 것으로 의심되는 만큼 상황에 따라선 이 감찰관 해임도 검토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관련기사 보기]
☞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靑 “정권 흔들기에 굴복 않겠다”… 정치적 승부수?
입력 2016-08-31 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