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일리노이와 애리조나주 선거관리위원회가 해킹을 당했다. 또 러시아다. 지난달 민주당 전국위원회(DNC), 이달 뉴욕타임스(NYT)를 해킹한 러시아 해킹조직이 벌인 일로 추정된다. 오는 11월 대선을 앞두고 러시아의 개입 정황이 뚜렷해지는 모양새다. 나아가 선거조작 가능성까지 고개를 들고 있다. 자칫하면 대선 결과에 흠집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29일(현지시간) 야후뉴스에 따르면 미 연방수사국(FBI)은 지난 18일 각 주 선관위에 “2개주 선관위 웹사이트가 사이버 공격을 받았다”는 내용을 담은 공문을 보냈다. 이어 유사 사례 점검과 보안 강화를 촉구했다. FBI는 해킹에 활용된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공개하고 수사에 착수했다.
워싱턴포스트(WP)를 비롯한 언론은 일리노이·애리조나주 선관위가 해킹을 당했다고 보도했다. FBI는 해킹당한 2개 주를 명시하지 않았다. 이번 해킹으로 일리노이주에서 유권자 개인정보 20만건가량이 유출됐다. 애리조나주의 경우 사이버 공격을 당했지만 개인정보 유출은 막은 것으로 전해졌다.
러시아 정보기관을 배후로 둔 해킹조직이 이번 해킹을 벌인 것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일리노이주 선관위 켄 멘젤 자문위원은 WP에 “이번 사건이 외국 정보기관과 연계됐는지 FBI가 들여다보고 있다”고 전했다. 익명의 정보기관 관계자는 NBC뉴스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대선에 불확실성을 심으려 한다는 심각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사이버보안업체 스레트커텍트의 최고정보책임자 리처드 바거는 “러시아 정보기관을 배후로 둔 해킹조직이 이번에 FBI가 공개한 IP 중 하나를 이미 활용한 적 있다. 해킹 수법 역시 유사하다”고 설명했다.
민주당과 유력 언론에 이어 선관위가 보유한 유권자 개인정보까지 해킹당하면서 불과 69일 앞으로 다가온 대선이 러시아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는 의혹이 현실화되고 있다. FBI는 지난달 위키리크스가 공개한 DNC 내부 이메일이 러시아 해킹조직의 공격으로 유출된 것으로 보고 수사를 진행 중이다.
러시아의 선거 개입이 사실이든 아니든 대선 결과에 흠집이 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대선후보는 일찌감치 대선 결과가 자신에게 불리하게 조작될 수 있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일각에서는 해킹 가능성에 대비해 전자투표제를 점검하고 투표용지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재 30개 주에서 전자투표제가 활용되고 있다.
신훈 기자 zorba@kmib.co.kr
美 2개주 선관위 해킹… 러 정보기관 개입?
입력 2016-08-31 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