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신화의 오르페오 이야기가 창극으로 만들어진다. 9월 23∼28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무대에 오르는 국립창극단의 오페라 창극 ‘오르페오전’이다. 자타공인 국내 최고 오페라 연출가로 꼽히는 이소영(사진)이 대본과 연출을 맡고, 국악을 바탕으로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선보여온 작곡가 황호준이 음악을 맡았다. 이소영은 지난해 9월 국립오페라단장 퇴임 이후 4년만의 무대 복귀작이었던 창극 ‘적벽가’로 공연계에서 센세이셔널한 반응을 얻어낸 바 있다.
31일 국립극장에서 만난 연출가 이소영은 “지난해 ‘적벽가’를 통해 창(唱)의 외연 확장이 창극이라는 것을 이야기했다면 이번 ‘오르페오전’에선 동양의 오페라가 창극이라는 것을 이야기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신화 속 오르페오는 저승에서 아내 에우리디체를 구해내지만 이승으로 나갈 때까지 뒤돌아보지 말라는 금기를 지키지 못한다. 결국 에우리디체는 오르페오의 손을 놓고 다시 저승으로 돌아간다. 이 이야기는 서양 음악극을 대표하는 오페라의 역사에서 중요한 작품들의 소재가 됐다.
창극 ‘오르페오전’은 작곡가와 대본가가 음악적 영감을 공유한 뒤 작업하는 과거 오페라 제작 방식을 따랐다. 하지만 작품의 철학과 무대에는 동양사상이 짙게 배어 있다. 이번 창극에서는 주인공의 이름을 ‘올페’와 ‘애울’로 바꾸고, 무대미술에 한국의 전통적인 방패연과 얼레를 차용했다. 무엇보다 두 주인공의 관계와 성격에 동양적 정서가 가득하다. 신화 속 오르페오는 에우리디체를 보고 싶은 호기심을 누르지 못하고, 에우리디체는 뒤돌아보지 않는 오르페오에게 사랑을 확인하고 싶어한다. 하지만 이 작품에서 올페는 자발적으로 애울의 손을 놓는다.
이소영은 “나는 올페가 산 자와 죽은 자 간의 순리를 지키려는 애울의 마음을 알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돌아보라는 애울의 말에 올페가 눈물을 흘리며 뒤돌아본다고 설정했다”며 “만물을 포용하는 여성의 사랑에 대한 정서야말로 서양과 다른 동양적 특징이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
국립창극단 ‘오르페오전’ 이소영 연출가
입력 2016-08-31 1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