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北 유입 돈줄 틀어막는다… 北 노동자 고용 20여개국 거명

입력 2016-08-30 18:16
미국 정부가 북한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는 20여개국을 거명하면서 해외에서 이뤄지는 북한 노동자의 강제노동을 문제삼았다. 이들 나라에서 북한으로 유입되는 돈줄을 틀어막으려는 압박 조치로 보인다.

29일(현지시간)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미 국무부는 최근 북한 인권증진 전략 보고서를 의회에 냈다. 지난 2월 제정된 대북제재강화법(H.R.757)에 따라 제출된 보고서다. 북한 인권유린 실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경각심을 높이고, 북한 내 정보 유입을 확장하며, 인권유린 가해자의 책임을 적극 추궁한다는 세 가지 전략이 설명돼 있다.

북한 노동자가 일하는 국가와 탈북자를 강제 송환하는 나라 명단도 보고서에 포함됐다. 북한 노동자가 고용된 나라는 중국 러시아 베트남 캄보디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폴란드 몰타 등 20여개국이다. 탈북자 강제 송환국은 중국과 동남아 국가가 대부분이다.

카티나 애덤스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대변인은 “북한 당국이 사법절차 없이 살인, 납치, 자의적 체포 및 구금, 강제노동, 고문을 자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 국외 노동자의 강제노동은 미국이 주목하는 이슈다. 국무부는 지난 4월 발표한 인권 보고서에서 “고용계약을 맺고 외국에 있는 북한 노동자도 강제노동에 직면했다”며 “5만∼6만명으로 추정되는 국외 노동자는 주로 러시아와 중국에서 강제노동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국무부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제재 대상에 넣은 보고서를 의회에 제출했고, 재무부는 이를 근거로 북한의 개인 15명과 기관 8곳을 제재 대상으로 발표했다.

천지우 기자 mog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