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협의회의 한진해운 처리 결정 시한을 하루 앞두고 해운업계가 “해운산업 붕괴를 막기 위해서라도 한진해운을 반드시 살려야 한다”며 법정관리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
김영무 한국선주협회 상근부회장은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마리타임코리아 해양강국 포럼’에서 “한진해운이 법정관리 절차를 밟는 것은 회생이 아니라 청산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내 해운업계에 현대상선만 있어도 되는 것 아니냐고 말하지만 현재 세계 해운시장에서 현대상선의 컨테이너 점유율은 1.9%에 불과하다. 한진해운의 역할이 아주 크다”고 역설했다.
김 부회장은 국책은행의 해외 선사 지원을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국책은행인데 산업은행 선박여신 중 90%가 해외 선사에 제공되고 있다”며 “국민이 낸 세금을 경쟁 선사를 위해 쓴 셈”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그는 “한진해운이 매년 조선업계에 발주하는 선박이 3억 달러에 달한다”며 “한진해운 법정관리가 조선업계에도 큰 타격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양창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장도 이 자리에서 “한진해운이 법정관리로 가는 것은 돌이킬 수 없는 선택이 될 것”이라며 “경제 손실과 대량 해고를 가져올 법정관리는 재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한국선주협회는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환적화물 감소, 운임료 증가 등으로 연간 17조원의 손실이 발생하고, 해운업계에서 2300여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한진해운의 경영 정상화 절차 지속 여부를 30일 결정할 예정이다. 한진해운은 최근 5600억원 규모의 자구안을 제시했지만 채권단은 당초 요구한 수준에 못 미친다며 수용불가 입장을 나타냈다.
허경구 기자 nine@kmib.co.kr
해운업계 “한진해운 반드시 살려야”
입력 2016-08-29 18:54 수정 2016-08-29 2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