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미세먼지 줄이기 ‘통큰’ 투자

입력 2016-08-29 17:48
미세먼지 문제가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지방자치단체들이 저마다 미세먼지 농도를 낮추기 위한 아이디어를 짜내고 있다. 사진은 환경운동연합 회원들이 29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 앞에서 마스크를 쓴채 ‘미세먼지 주범 기업’ 폭스바겐 규탄 및 대책 마련을 촉구하며 기자회견을 갖고 있는 모습. 서영희 기자
미세먼지 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지방자치단체들이 미세먼지 농도를 낮추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대구시는 2021년까지 1조2079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초미세먼지 20% 저감 종합대책’을 시행한다고 29일 밝혔다.

미세먼지(PM-10)는 대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 알갱이 지름이 10㎛ 이하일 때, 초미세먼지(PM-2.5)는 2.5㎛ 이하일 때를 뜻한다. 초미세먼지의 경우 자동차 배출가스, 화석연료 연소 등이 주요 원인이고 미세먼지는 공사장 먼지, 도로먼지 등이 원인이다. 우리나라는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 25㎍/㎥ 이하, 미세먼지 농도 50㎍/㎥ 이하를 안전 기준으로 삼고 있다.

대구시는 2021년까지 초미세먼지 농도를 현재(지난해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 26㎍/㎥)보다 20% 정도 낮은 20㎍/㎥까지 만들고, 가시거리도 현재 17㎞정도 되는 것을 20㎞까지 늘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노후경유차 운행제한제 지방 시행을 위한 법개정 건의, 전기차 보급 확대, 대기측정망 확충, 경유차 조기폐차 지원제도 시행 등 32개 사업을 추진한다.

대전시는 ‘미세먼지 줄이기 특별 대책’을 추진한다. 2030년까지 경유를 연료로 하는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를 전기와 천연가스 하이브리드 버스로 교체하고, 내년까지 초미세먼지 측정 장비를 10곳으로 늘리는 등 5개 분야 18개 사업을 추진한다.

또 현재 25㎍/㎥ 수준(지난해 측정치)인 초미세먼지 농도를 10년 안에 유럽 등 선진국 수준(파리 18㎍/㎥, 도쿄 16㎍/㎥, 런던 15㎍/㎥)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환경, 교통, 에너지 등 관련 부서 합동으로 ‘미세먼지 저감 추진 태스크포스(TF)’도 구성한다.

부산시는 부산환경공단과 함께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도로미세먼지 사업단’을 출범시킨다. 사업단은 70명으로 구성되며, 30억원의 예산으로 미세먼지 진공 흡입 차량 10대, 물청소 차량 4대 등을 구입해 운영한다. 사업단은 2018년까지 120억원을 추가로 투입해 미세먼지제거 전용차량 50대를 도입할 계획이다.

경남도 역시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2020년까지 4102억원을 투입해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농도를 줄이기로 했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대기오염측정망 등 시설을 확충하고 대기질 통합관리센터를 신설해 대기오염 자동경보와 공개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 노면청소차량·살수차량 확충, 화력발전소 집중관리, 전기자동차 등 친환경자동차 보급 확대 등의 대책도 시행한다. 환경산림국장을 팀장으로 하는 미세먼지 대책 이행추진TF도 운영하기로 했다.

부산·대구=윤봉학 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