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금융기관 채권 상환유예 동의… 정부·채권단, 경영정상화 지원을”

입력 2016-08-28 21:05

한진그룹이 28일 긴급 자료를 내고 해운산업 붕괴를 막기 위해 정부와 채권단이 경영 정상화 지원에 나서줄 것을 호소했다. 그러나 채권단은 자구안이 미흡해 추가 지원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한진그룹은 이날 낸 자료에서 독일 HSH 노르드방크, 코메르츠방크와 프랑스 크레딧아그리콜 등 해외 금융기관이 지난 27일 해운 선박금융 채권 상환 유예에 대한 동의 의사를 한진해운에 전달해왔다고 밝혔다. 산업은행의 보증이 없을 경우 상환유예가 불가능하다던 기존 입장을 철회한 것이다.

한진그룹 관계자는 “해운 선박금융 채권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해외 금융기관들의 상환유예만으로도 약 1280억원의 자금조달 효과를 볼 수 있다”며 “타 해외 금융기관들도 동참하겠다는 의사 표명이 이뤄지고 있어 총 4700억원의 자금조달 효과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한진그룹은 또 용선료 조정 협상에서 최대 선주사인 시스팬이 산업은행의 동의를 조건으로 합의하면서 약 8000억원의 자금조달 효과가 발생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한진해운은 용선료 조정으로 8000억원, 선박금융 유예를 통해 4700억원 등 총 1조2700억원의 유동성 조달 효과를 보게 돼 채권단의 자율협약 조건을 대부분 충족할 수 있다고 한진그룹 측은 설명했다.

한진해운 관계자는 “현재 대한항공 부채비율이 1100%나 되는 등 그룹이 재무적으로 녹록한 상황이 아니지만 그럼에도 국가 기간산업인 해운을 살리고자 노력했다”며 “해운업이 붕괴되지 않도록 정부와 채권단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이에 대해 산업은행 관계자는 “용선료 조정과 선박금융 성공은 부족 자금을 추산하는 과정에서 이미 성공으로 전제해 계산했다”며 “좀더 적극적인 자구 방안이 없다면 추가 지원은 어렵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보기]



글=박세환 기자, 그래픽=이석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