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현대의원 C형간염 집단감염도 ‘뒷북 대응’

입력 2016-08-28 18:20

보건 당국이 서울 동작구 서울현대의원(현 제이에스의원)의 주사기 재사용에 의한 C형간염 집단감염 의심 신고를 받고도 물증 확보를 위한 환경검체(주사제 주삿바늘 수액제 등) 수거를 한 달 이상 늦게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C형간염 바이러스는 실온에서 평균 5일가량밖에 생존하지 못한다. 때문에 집단감염 원인을 규명하려면 신속한 환경검체 수거와 검사가 필수다. 보건 당국의 미숙한 초동 대처로 의료인의 위법행위를 제때 밝혀내지 못했고 피해자 구제를 어렵게 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의원이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 등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보건 당국이 최초 민원 접수 후 약 35일 뒤에야 서울현대의원에 대한 환경검체 수거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고 28일 밝혔다.

서울현대의원에 대한 1회용 주사기 재사용 의심 신고가 접수된 것은 지난 2월 19일이었다. 복지부와 건보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월 25∼29일 해당의원을 현장 조사해 생리식염수주사제 분할 사용, 주사기 개봉 사용 등 일부 문제점을 확인했다. 하지만 이날 조사엔 감염병 역학조사 전문기관인 질병관리본부는 참여하지 않았다. 때문에 집단감염 원인을 밝힐 주사제, 주삿바늘, 수액제 등 환경검체 수거가 이뤄지지 않았다. 복지부가 질병관리본부에 역학조사를 요청한 것은 3월 16일이었고, 질병관리본부가 동작구보건소와 실제 환경검체 수거에 나선 것은 3월 24∼25일이었다. 하지만 이날 수거한 3가지 환경검체에선 C형간염 바이러스가 나오지 않았다. 보건 당국이 35일이나 늦게 환경검체를 수거해 검사했기 때문에 C형간염 바이러스를 발견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정 의원은 “지난해 양천구 다나의원의 C형간염 사고 이후인 지난 2월 18일 복지부가 ‘1회용 주사기 재사용 의심 의료기관 신고 접수 시 즉각 현장 대응하겠다’고 발표한 다음날 서울현대의원에 대한 신고가 있었다”며 “대책 발표를 하고도 환경검체 수거가 35일이나 늦었다는 건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다나의원의 경우 지난해 11월 19일 양천구보건소에 의심신고 접수 당일 질병관리본부가 현장조사와 환경검체 수거를 실시했고, 그 결과 혼합 주사액, 주사침 등에서 C형간염 바이러스를 찾아냈다.

글=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그래픽=이석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