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추미애 대표를 선출하면서 박근혜(얼굴) 대통령이 정례화를 언급한 여야 3당 대표 회동 개최 시점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 5월 3당 원내대표 회동에서 분기별 한 차례의 3당 대표 회동을 갖기로 했고, 6월 20대 국회 개원연설에서도 3당 대표와의 회담 정례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여소야대로 재편된 20대 국회에서 국정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선 야당과의 소통과 협력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국민의당은 당분간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체제로 갈 예정이어서 일단 첫 회동은 박 대통령과 이정현 대표, 추 대표, 박 비대위원장의 회동이 될 것으로 보인다.
우선 거론되는 시점은 박 대통령이 다음 달 2∼9일 러시아 중국 라오스 3개국 순방을 마친 뒤 추석 연휴를 전후한 시기다. 해외순방 성과를 여야 대표에게 설명하고 국정 협력을 요청하는 형식으로 이뤄지는 게 유력하다는 얘기다. 이번 순방이 북핵 문제와 관련한 중국 러시아와의 협력, 사드(THAAD) 한반도 배치의 불가피성을 설명하는 데 초점이 맞춰진 만큼 안보이슈 등에 대한 야권의 협력을 자연스럽게 요청할 수 있는 자리이기도 하다.
다만 문제는 현재 정국이다.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의 거취, 사드 배치 결정 등으로 박 대통령과 야권, 여야가 첨예한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상황에선 회동이 이뤄져봤자 뚜렷한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 추 대표는 이미 강성 야당으로서 확고한 색깔을 내겠다고 천명한 상태다.
결국 청와대로선 박 대통령의 해외순방 이후 정국 상황을 봐가면서 여야 3당 대표 회동 일정을 조율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 수석 문제 등 여야 간 이견이 심한 현안이 계속 이어질 경우 여야 대표와의 회동 역시 늦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 청와대 관계자는 28일 “아직까지 회동 시기나 형식 등에 대한 논의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추 대표 선출과 관련해 별도로 공식입장을 내놓지는 않았다. 다만 29일쯤 김재원 정무수석을 통해 추 대표에게 박 대통령이 보내는 축하난을 전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朴 대통령-여야 3당 대표 회동 열리나… 추석 전후 성사 거론
입력 2016-08-28 1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