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추미애 대표, 국정책임 나눠 지겠다는 자세로 임해야

입력 2016-08-28 17:32
더불어민주당이 27일 전당대회에서 5선의 추미애 의원을 새 대표로 뽑았다. 친문재인 진영 지지를 받은 추 의원은 50% 이상의 압도적 득표로 당선됐다. 대구·경북(TK) 출신 첫 야당 여성 대표에 오르는 영예를 안았으며 정치적으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기회도 잡았다.

그러나 추 대표가 짊어진 과제는 이전 야당 대표들의 그것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막중하다. 실패할 경우 개인적 상처를 넘어 당과 나라 전체에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기 때문이다.

우선 당내로는 공정한 대선 관리에 사활이 걸렸다. 친노-친문계는 당대표는 물론 최고위원까지 싹쓸이했다. 이런 지도부 구성으로 더민주 내에서는 ‘문재인 대세론’이 탄력을 받겠지만 룰을 비롯해 대선후보 경선이 불편부당하게 진행될 수 있을지 의심하는 시각이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만약 추 대표가 본인 당선에 결정적 도움을 준 친문계만 대변한다면 당은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도 있다. 다른 대선주자 주변에서 친문을 제외한 야권의 제3지대를 띄우자는 얘기가 거론되고 있음을 추 대표는 유념해야 된다.

다음은 제1야당 대표 역할이다. 당대표 경선 과정에서 보인 언행은 지금부터 모두 잊고 국정의 책임을 나눠 졌다는 자세로 임해야 한다. 추 대표는 여소야대 정국에서 사실상 원내 1당의 위상과 권한을 가진 정당의 수장이다. 이에 걸맞게 사고(思考)하고 행동해야 한다는 얘기다. 추 대표는 그간 당 강령 개정과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등에 있어 정체성과 선명성을 전면에 내세웠다. 이는 득표 전략으론 유효했을지 몰라도 당대표로서는 득보다 실이 많을 것이다. 그의 강경 노선과 좌클릭에 대해 여당은 물론 야당에서도 걱정하는 목소리가 작지 않다.

야당 본연의 임무를 도외시하라는 요구가 결코 아니다. 정권에 대한 파수꾼 역할은 유효할 뿐 아니라 임기 말을 향해 가는 정권에 대해서는 더 강화돼야 한다. 박근혜 대통령과 정부·여당의 실정과 오판은 추상같이 따지고 시정토록 만들어야 한다.

그런데 국익과 국민의 안전이 걸린 현안에서는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사드는 그 시금석이다. 추 대표는 당선 직후 언론 인터뷰에서 기존과 마찬가지로 사드 반대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중국이 26일(현지시간) 유엔 안보리의 북한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 발사 규탄성명에 찬성했을 정도로 한반도의 안보 환경은 악화일로다. 김정은 정권의 멈출 줄 모르는 핵과 미사일 도발은 위협 단계를 넘어서고 있다. 따라서 사드 배치는 철저히 안보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 추 대표는 반대 당론을 모으기 전에 정부의 안보 당국자들과 만나 설명을 듣고 다시 판단해보길 바란다. 그러고도 반대하려면 당당하게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