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민간기업 빅데이터 묶어보니 ‘고소득 부부 저출산’ 통계가 말한다

입력 2016-08-26 00:00

소득이 높은 신혼부부가 아이는 더 적게 낳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소득 부부일수록 맞벌이 비중이 높고, 부인이 일을 하는 가정은 출산·육아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는 분석이다. 통계청이 민간기업과 빅데이터를 연계해 도출한 결론이다.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자료를 보면 2014년 기준 결혼 5년차 신혼부부 5만쌍 중에서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 가구의 평균 출생자녀수는 1.1명이었다. 2분위에서 1.2명으로 소폭 상승하지만 3분위에서 다시 1.1명으로 내려앉는다. 이후 4분위 1.0명으로 감소하고, 소득이 가장 많은 5분위 신혼부부의 평균 자녀수는 0.8명에 불과했다.

맞벌이 비중은 소득 분위가 높을수록 급증했다. 1분위는 19.9%, 2분위는 37.5%에 그쳤지만 4·5분위는 각각 77.5%, 81.6%로 큰 차이가 났다.

1∼5년차 신혼부부 5만쌍을 대상으로 따로 조사한 평균 출생자녀수는 0.68명이었다. 이 가운데 맞벌이 부부의 자녀수는 0.66명, 부인이 혼자 돈을 버는 외벌이 부부의 자녀수는 0.64명이었다. 반면 남편이 홀로 돈을 버는 외벌이 부부의 자녀수는 0.73명으로 평균보다 높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남편보다는 부인의 경제활동 유무가 출산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저출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선 일과 가정의 양립을 지원하는 출산 정책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빅데이터로 확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으로는 방대한 양의 민간기업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책이 보다 정교하게 마련될 전망이다. 민간기업은 공공 빅데이터를 활용해 신성장동력을 발굴할 수 있게 된다. 통계청은 이날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공공·민간 빅데이터 연계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보고·확정했다고 밝혔다. 신혼부부 분석 결과는 통계청 인구자료와 신용정보회사 신용자료, 건강보험 소득자료 등을 연계해 추출한 표본을 근거로 했다. 정부가 민간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첫 사례다.

향후 통계청은 공공 데이터를 민간에 적극 제공하고, 오는 9월에는 관계부처와 협의해 부채와 주택문제 등 주요 현안에 대한 심층 분석을 진행할 계획이다. 공공 데이터에 포함된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선 민간에 자료를 넘길 때 개개인 식별이 불가능하도록 처리된다.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면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요소인 빅데이터가 적재적소에 활용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신산업 창출의 토대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글=유성열 기자, 그래픽=이석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