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연구진이 개발한 태양광 무인기(드론)가 성층권 비행에 성공했다. 태양광으로 움직이는 무인기로 대기가 희박한 고도 18㎞ 이상 성층권에 진입하기는 세계에서 3번째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지난 12일 ‘고(高)고도 태양광 무인기(EAV-3·사진)’가 18.5㎞의 성층권 고도에서 90분간 비행했다”고 25일 밝혔다. 지난해 고도 14.12㎞에 도달한 데 이어 4㎞ 더 높이 날았다.
EAV-3은 날개 길이 20m, 동체 길이 9m, 기체 중량 53㎏으로 초경량 탄소섬유 복합체로 만들어졌다. 최고 시속 43㎞로 날 수 있다. 성층권에서 2주 이상 비행에 성공한 태양광 무인기는 영국 키네틱사의 ‘제퍼(Zephyr)’가 유일하다. 미국 에어로바이론먼트사의 ‘헬리오스(Helios)’는 성층권에 진입했지만 단기 체공에 그쳤다.
성층권은 대기 밀도가 지상의 약 9%, 온도는 영하 70도로 일반 항공기의 경우 비행이 어렵다. 대신 바람이 약하고 구름이 없기 때문에 태양광을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글과 페이스북 같은 거대 기업과 러시아, 중국 등이 태양광 무인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지만 성층권에 이르지는 못했다. 고고도 태양광 무인기는 실시간 지상 관측이나 통신 중계, 기상 관측 등 인공위성을 보완하는 임무를 저렴하게 친환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국산 태양광 무인기 성층권 비행 성공… 세계 3번째로 진입
입력 2016-08-25 1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