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24일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 비행시험에 사실상 성공해 남한 전역이 SLBM 위협권에 들게 됐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오전 5시30분쯤 함경남도 신포 인근 동해상에서 SLBM 시험발사에 성공했다”며 “비행거리는 500㎞였다”고 밝혔다. 이는 북한이 현재까지 진행한 시험발사 가운데 가장 먼 거리다. 군 당국은 300㎞ 이상 비행 시 성공한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북한은 처음으로 SLBM 수중 시험발사를 한 지 불과 1년3개월 만에, 올 들어서는 세 번째 시험발사에서 비행시험에 성공했다.
북한 SLBM은 정상 고도인 300∼400㎞보다 훨씬 높은 400㎞ 이상 솟구쳤으며 50㎞ 상공에서 마하 10의 속도로 낙하한 것으로 알려졌다. 낙하 지점은 일본 방공식별구역(JADIZ)을 80㎞ 침범한 해상이다. 군 당국은 SLBM이 정상 고도로 발사됐다면 비행거리가 1000㎞ 이상이며, 엔진 추진력을 높일 경우 최대 2000㎞ 이상 비행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다.
군 당국은 특히 북한의 SLBM 기술이 수중사출 기술에 이어 비행기술까지 상당 수준 진전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지난 4월 23일 발사된 SLBM은 약 30㎞를 비행한 뒤 공중폭발해 2∼3조각으로 분리됐으나 불과 4개월 만에 사거리가 대폭 늘어난 것이다. 이에 따라 군 당국은 북한이 이르면 연내 SLBM을 실전배치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군사 전문가들은 “북한 SLBM이 남북한 전력 균형을 결정적으로 무너뜨리는 게임체인저(Game-changer)가 됐다”며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오후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을 실시 중인 중부전선 전방군단을 방문, 북한 SLBM 발사와 관련해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은 더 이상 가상의 위협이 아니라 현실적인 위협이고, 시시각각 그 위협이 다가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정은의 성격이 예측이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런 위협이 현실화될 위험성이 매우 크다”며 북한 도발 시 우리 군의 단호한 응징을 주문했다.
청와대는 앞서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어 북한 SLBM 발사가 엄중한 상황이라는 데 의견을 모으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관련기사 보기]
☞
☞
글=최현수 군사전문기자,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그래픽=이석희 기자
北, 잠수함에서 南전역 ‘核공격’ 가능… SLBM 발사 성공
입력 2016-08-25 0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