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우조선 비리 둘러싼 유력 인사 연루 의혹 파헤쳐야

입력 2016-08-23 18:56
대우조선해양 비리를 수사 중인 대검찰청 부패범죄특별수사단이 남상태(구속) 전 사장의 연임 로비 의혹에 대한 본격적인 규명에 나섰다. 이 연임 로비에 연루돼 수사선상에 오른 게 홍보대행사 뉴스커뮤니케이션스(뉴스컴) 박수환 대표다. 박 대표는 22일 검찰에 소환돼 21시간에 걸쳐 강도 높은 조사를 받은 뒤 23일 오전 귀가했다. 그는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등의 혐의를 받고 있는 피의자 신분이다. 이번 수사의 핵심은 남 전 사장 연임을 위해 박 대표가 어떤 로비를 했는지 밝혀내는 것이다.

소규모 홍보대행사에 불과한 뉴스컴의 대표가 대우조선 비리라는 거악(巨惡)의 주요 수사 표적으로 등장한 건 의외다. 하지만 박 대표의 마당발 인맥을 들여다보면 의문이 풀린다. 1997년 뉴스컴을 세운 박 대표는 대기업 홍보 업무뿐 아니라 재벌 일가의 경영권 분쟁이나 금융·산업 분야 송사에 관여하며 두각을 보였다. 그 과정에서 재계뿐 아니라 정관계, 법조계, 언론계와 두터운 친분을 쌓았다. 2004년 이명박 서울시장의 홍보 업무를 맡은 이후 이명박정부 실세들과도 교류했다. 남 전 사장 재임 때 대우조선 대주주인 산업은행장을 지낸 민유성씨와도 가까운 사이다. 2013년 효성그룹 내부 송사 때에는 변호사로 활동하던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이 법률자문을 맡는데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이러니 연임을 위해 뛰던 남 전 사장이 박 대표에게 기댈 수밖에 없었겠다.

대우조선은 남 전 사장이 재임 중인 2008년 말 뉴스컴과 3년간(2009∼2011년) 26억원대의 홍보계약을 맺었다. 통상적인 홍보예산을 훨씬 뛰어넘는 액수다. 이 계약 이후 남 전 사장은 2009년 3월 연임에 성공했다. 이 때문에 검찰은 남 전 사장이 민유성 당시 산업은행장 등에게 로비를 해달라는 명목으로 박 대표에게 거액의 일감을 줬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우조선 후임 사장 때인 2012∼2014년 3년간 뉴스컴이 지급받은 홍보계약금 3억여원에 비해 8배 넘는 액수라는 점에서 26억원대의 자금 일부가 금품 로비에 사용됐을 수도 있다. 자금 흐름 추적에 나선 검찰이 사용처를 명백히 규명해야 하는 이유다.

특히 박 대표가 대기업 일감 수주를 위해 친분을 내세운 유력 인사들이 비리 커넥션에 연루됐는지도 검찰이 파헤쳐야 한다. 박 대표가 과시한 인맥에는 민 전 행장뿐 아니라 전직 검찰 고위 간부 K씨, 유력 일간지 고위 간부 S씨 등이 포함돼 있다. 이 중 S씨의 친형은 남 전 사장이 연임에 성공한 직후 대우조선 사외이사 겸 감사위원으로 선임됐다. 박 대표나 S씨의 영향력이 작용한 건 아닌지 검찰이 면밀히 들여다봐야 한다. 또 이들 유력 인사가 박 대표에게 사업과 관련된 도움을 주고 대가를 받았는지에 대해서도 철저히 수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