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리스크가 여권 핵으로 부상했다. 8·9전당대회 이후 잠잠했던 비주류들이 우 수석 거취 문제를 놓고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면서 지도부는 리더십 위기에 봉착했다.
새누리당은 전날에 이어 21일에도 우 수석 관련 논평을 내놓지 못했다. 야권이 우 수석 문제를 집중 공격하며 릴레이 논평을 내놓은 것과 크게 다르다. 반면 대권 잠룡인 김무성 전 대표는 “우리나라 사정기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수석이 (검찰 수사를 받으면서) 그 자리에 있어서야 되겠느냐”며 “대통령의 부담을 덜어주는 결단을 내릴 때가 왔다”고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그가 우 수석 문제에 대해 입장을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 김 전 대표는 “지금까지 우 수석에 대해 한 마디도 안 했는데 그만큼 그가 중요한 역할을 해 왔기 때문”이라며 “대통령이 임명한 특별감찰관이 검찰 수사를 의뢰한 것 아니냐”고 강조했다. 지난 20일 민생행보를 잠시 중단하고 상경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나눈 대화다.
여권에서는 김 전 대표 발언을 계기로 우 수석 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분출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진석 원내대표, 정병국 주호영 하태경 의원 등도 같은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당장 22일로 예정된 의원총회에서 이 문제가 거론될 경우 당이 내홍에 빠져들 수 있다는 우려까지 제기됐다.
곤혹스러운 건 지도부다. 당 고위 관계자는 “우 수석 문제는 시간을 끌면 끌수록 여권의 악재다. 지지율 하락은 불 보듯 뻔하고, 국정 드라이브를 걸기도 어렵다”고 했다. 야권은 이미 이철성 경찰청장 내정자 인사청문회 이후 “부적절한 민정수석이 검증한 부적절한 인사의 표본”이라며 보고서 채택을 거부하고 나섰다. 게다가 대야 협상을 책임진 정 원내대표는 우 수석 문제로 이미 청와대와 각을 세우고 있다.
이정현 대표 개인으로서도 리더십 시험대에 올랐다. ‘이정현 체제’는 청와대의 전폭적 지지 속에 빠르게 안착해 왔지만 동시에 ‘박근혜 대통령 비서 출신’이라는 한계 우려도 제기돼 왔다. 우 수석의 거취 문제를 정리하지 못할 경우 비박계로부터 당이 청와대에 끌려간다는 비판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야권의 우 수석을 향한 사퇴 압박도 강도를 더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원내대변인은 현안 브리핑에서 “무엇을 잘못했는지도 모르고 스스로 물러날 용기조차 없는 우 수석 지키기는 포기하기 바란다”며 “우 수석을 즉시 해임하고 피의자 신분으로 수사 받도록 청와대가 결단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검찰을 겨냥해선 “청와대가 이석수 특별감찰관에 대한 수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자마자 검찰의 눈치 보기가 시작된 듯하다”고 꼬집었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페이스북에 “대통령이 임명한 특감과 민정수석을 검찰이 동시 수사한다면 그 인사를 한 대통령은 어떻게 되느냐”며 “해외토픽에 나올 나라 망신”이라고 썼다.
[관련기사 보기]
☞
☞
☞
전웅빈 권지혜 기자 imung@kmib.co.kr
“禹를 어째…” 곤혹스런 與
입력 2016-08-22 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