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글로벌 금융시장은 이런 움직임에 적극적으로 동조하는 분위기는 아니지만 미국의 지역 연방준비은행장들을 중심으로 금리 인상설에 계속 군불이 지펴지고 있다. 연방준비제도 부의장이자 재닛 옐런 의장의 복심으로 알려진 윌리엄 더들리 뉴육 연방준비은행장은 18일(현지시간) 언론 브리핑에서 “내 시각은 지난 16일 이후 변하지 않았다”며 다음 달 금리 인상이 이뤄질지에 대해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16일 미국 경제전문방송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9월 금리 인상이 가능하겠냐는 진행자의 질문에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데니스 록사트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장도 “연내 두 차례 금리 인상을 생각할 수 있다”고 했고, 존 윌리엄스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장 역시 금리 추가 인상 시점과 관련, “더 늦은 쪽보다는 더 빠른 쪽을 선호한다”고 밝혔다.
물론 이런 정황만으로 ‘9월 금리 인상’을 단정할 수는 없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지난달 회의록을 보면 조기 금리 인상을 둘러싼 위원들의 의견 대립이 팽팽했음을 알 수 있다. 실업률과 물가상승률 등 미 국내 사정도 금리 인상에 직접 영향을 줄 만큼 방향성이 확실치 않다. 그러나 연내 인상 가능성이 무척 높아진 것은 분명하다.
3000억 달러가 넘는 외환보유액에다 사상 최장의 경상수지 흑자 행진 등 우리 경제체질이 탄탄해 외화자금 유출 등의 금리 인상 파고를 견딜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경계를 늦춰서는 안 되겠다. 1223조원이 넘는 가계부채가 가장 걱정이다. 특히 우려스러운 것은 가계부채를 둘러싸고 통화 당국과 금융 당국 간 엇박자가 보인다는 점이다. 한국은행이 크게 우려하는데 비해 금융위원회는 다소 낙관적인 입장이다. 미국 금리 인상에 대처하는 근본 처방은 경제체질 개선과 구조개혁이지만 발등에 떨어질 불은 가계부채라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사설] 높아지는 美 금리 인상 가능성, 철저히 대비해야
입력 2016-08-19 1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