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주재 북한대사관 소속 3등 서기관도 최근 가족과 함께 한국에 입국한 것으로 18일 알려졌다. 주영 북한대사관에 근무하다가 탈북해 가족과 함께 한국으로 들어온 태영호 공사에 이어 북한 외교관들의 망명이 현실화되고 있는 형국이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지난 7월 러시아 현지에서 잠적한 북한대사관 소속 김철성 3등 서기관은 한국행을 선택해 아내와 아들을 데리고 국내에 들어와 관계 당국의 보호를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김 서기관이 한국에 들어온 시점은 태 공사의 입국보다 빠른 것으로 전해졌다.
정보 당국이 파악한 바에 의하면 김 서기관은 1975년 평양에서 태어나 2003년부터 대외무역 관련 업무를 해왔다. 김 서기관은 북한의 핵심 우방인 러시아에서 오랫동안 근무한 만큼 상당한 수준의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김 서기관이 실종됐을 당시 러시아 매체들은 그가 벨라루스 민스크 공항으로 떠났다고 보도한 바 있다.
당초 행선지가 제3국이었음을 고려할 때 김 서기관은 러시아에서 한국으로 직행하는 루트가 아닌 우리 정부의 협조 아래 제3국을 거쳐 입국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관측된다.
올해 들어 한국행을 선택한 북한 외교관은 태 공사와 김 서기관을 포함해 수명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북한 외교관들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속에서 이를 탈피하기 위한 창의적인 외교 노력을 강구하라는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해외 근무 북한 엘리트층의 동요 조짐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정건희 기자
[관련기사 보기]
☞
☞
☞
☞
러시아 주재 北대사관 ‘3등 서기관’도 한국 귀순
입력 2016-08-18 2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