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인물·자금·당헌당규 ‘3無 정당’ 탈피 안간힘

입력 2016-08-19 04:28
국민의당이 19일로 창당 200일을 맞는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왼쪽)이 지난 3일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김성식 정책위의장과 이야기하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총선을 앞두고 지난 3월 서울 마포 당사에서 선거대책 회의를 하고 있는 당시 지도부 모습. 왼쪽부터 천정배 전 공동대표, 김한길 전 공동선대위원장, 안철수 전 공동대표.김지훈 기자, 뉴시스
국민의당이 19일 창당 200일을 맞았지만 ‘3당 실험’은 고비를 맞고 있다. 총선 직후 당원 모집과 조직 정비의 ‘골든타임’을 놓친 데다 리베이트 의혹 사건을 기점으로 돌아선 민심은 회복의 기미가 없다. 전당대회와 대선 경선을 치를 당내 후보군의 폭도 좁다. 아직까지 인물, 자금뿐 아니라 제대로 정비된 당헌·당규가 없는 ‘3무(無) 정당’ 상태다. 당 안팎에서는 국민의당이 정기국회 기간에 반전의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시스템을 완비하는 한편 당의 정체성과 방향을 확고하게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최근 인터뷰에서 “안철수만으로는 안 된다. 대표직도 내주겠다”며 손학규 전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과 정운찬 전 국무총리에게 ‘러브콜’을 보냈다. 국민의당의 구애 작전은 하루이틀이 아니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대표직과 ‘대선룰 정비’까지 이들에게 양보하겠다는 태도다.

이는 국민의당 상황이 그만큼 절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박 위원장의 ‘개인기’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이 쌓이고 있는 데다 경쟁력 있는 대권 후보인 안철수 전 공동대표의 대권 행보도 탄력을 받지 못하고 있다. 당의 역동성과 존재감이 희미해져 가고 있다는 얘기다.

국민의당이 호남당이라고 하지만 호남 세력을 하나로 모을 ‘맹주’도 보이지 않는다. 박 위원장(전남)과 천정배 전 공동대표(광주), 정동영 의원(전북)의 영향력은 제한적이다. 한 호남 의원은 “호남이 누구를 중심으로 뭉쳐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지역 시·도당에 자금이 충분히 지원되지 않았던 것도 당의 발전을 가로 막고 있었던 요인이다. 일부 시·도당 사무실에는 여전히 집기도, 상근 당직자도 없다고 한다. 전국 정당을 표방했지만 현실은 초라했던 셈이다. 박 위원장은 뒤늦게 지난 9일 의원총회에서 시·도당 자금 지원을 지시했다.

당원 숫자도 10만명 남짓이다. 거대 양당에 비해 턱없이 모자라다. 호남 지역 당원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도 부담스러운 부분이다. 한 당직자는 “총선 직후 ‘녹색 바람’이 불었지만 돈도 없고 당원 모집 규정과 당비 납부 규정이 당헌·당규에 제대로 명시돼 있지 않아 조직 정비를 제대로 시작하지 못했다”며 “리베이트 의혹 사건이 터진 뒤에야 그때가 ‘골든타임’인 줄 알았다”고 했다.

200일간 기본기 부족을 여실히 느낀 국민의당의 향후 최우선 과제는 결국 내부 정비다. 당헌·당규 제·개정이 마무리되고 지역 조직에 자금 지원이 시작되면서 당원 모집에 본격 나설 시기인 9월 정기 국회 기간이 고비가 될 전망이다. ‘안철수·박지원 체제’에서 나타났던 수직적 의사결정 방식도 개선돼야 할 과제로 지적된다. 의제와 전략그룹 더모아 윤태곤 정치분석실장은 18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시간을 들여 시스템부터 완비해야 한다. 대선 후보급 인사가 갑자기 들어온다고 해도 단번에 반전의 기회를 노릴 수는 없다”고 했다.

당의 정체성을 확고히 정립하는 것도 중요하다. 국민의당이 표방하는 ‘새정치’와 민생 정책이 무엇인지 보여줘야 한다는 얘기다. ‘전(全) 당원 직선제’ 등 과감한 정당 혁신 움직임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당내에서 힘을 얻고 있는 점은 긍정적인 부분이다. 김성식 정책위의장을 중심으로 미세먼지, 전기세 인하 대책을 내놓는 등 민생 정책을 선제적으로 발굴한 점과 추가경정예산안 논쟁을 조기 점화하는 등 이슈를 선점해 온 것은 정책의 ‘색깔’을 드러낸 예로 평가받고 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사진=김지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