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은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에 대한 즉각 해임과 검찰의 공정한 수사를 촉구했다. 검찰 수사가 기대에 못 미칠 경우 특별검사제를 도입할 의지도 드러냈다.
더불어민주당 민주주의 회복 태스크포스(TF) 박범계 의원은 18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일단 우 수석을 즉각 해임해야 한다. 검찰이 살아 있는 권력인 민정수석을 상대로 제대로 수사하기 어렵기 때문”이라며 “검찰도 즉시 엄정한 수사를 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수사 의뢰는 기본적으로 범죄행위로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을 때 하는 것”이라며 “이석수 특별감찰관이 정부 기관의 협조를 제대로 받지 못한 상황에서도 수사 의뢰를 결정한 만큼 정부는 (이 특별검찰관에 대한) 기밀 누설 등의 ‘물타기’를 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밀 누설 여부에 대해선 “이 사건은 대대적인 언론보도, 검찰 고발에 이어 감찰이 착수된 만큼 기밀성은 없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더민주 이재경 대변인은 기자회견을 열고 “경찰 등 권력기관과 우 수석이 자료제출을 하지 않아 고발을 하지 못한 게 안타깝다”며 “검찰의 지체 없는 수사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국민의당 손금주 대변인도 “직권남용 및 횡령혐의로 우 수석을 검찰에 수사의뢰한 것은 당연한 조치”라며 “우 수석은 그 자리(민정수석)를 붙들고 있어선 안 된다. 대통령 엄호를 받으며 민정수석 철갑을 두르고 수사를 받는다면 어떤 국민도 그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야권은 검찰 수사가 미진할 경우 특검 도입 공조 의사를 드러냈다. 더민주 우상호 원내대표는 “우 수석은 박근혜정부의 소(小)통령”이라며 “대통령이 임명한 특별감찰관마저도 무력화시킨다면 특검으로 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더민주로부터 특검 제안을 받으면 진의를 파악해 논의하겠다”고 했고, 정의당 노회찬 원내대표도 “검찰수사와 특별감찰이 무력화되고 있어 남은 길은 우 수석에 대한 특검을 실시하는 것뿐”이라며 공조 입장을 밝혔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야권 “禹 즉각 해임… 檢수사 미진 땐 특검”
입력 2016-08-18 17:47 수정 2016-08-18 2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