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없던 내 땅, ‘아메리카’가 없었던 내 땅,// 적도가 나누는 땅” (1부 ‘지상의 등불’ 중 ‘아메리카 사랑’).
폭염을 식힐 폭포수 같은 묵직한 대서사시 1권이 배달됐다.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이자 칠레 시인 파블로 네루다(1904∼1973·사진)의 대표 시집 ‘모두의 노래’(문학과지성사). 국내 첫 완역이다.
시집은 총 15부 252편으로 엮은 대서사다. 시집은 스페인내전 당시 영사로 근무했던 네루다가 공개적으로 공화파를 지지하다 해임돼 귀국한 1938년부터, 파리의 난민 담당 영사를 거쳐 멕시코 총영사로 근무하고 돌아와 정치가로 활동하다 박해를 피해 1949년 정처없이 망명하기까지의 시를 모아 1950년에 펴낸 것이다.
시인 스스로 최고의 역작이라고 꼽은 시집이지만, 내용의 방대함과 난해함, 중남미의 역사와 자연을 모르면 이해하기 힘든 특수성 등이 번역의 장애요인이었다. 단국대 스페인어과 고혜경 전 교수가 지난해 정년퇴직하고 그 힘든 작업을 해냈다.
대부분의 역사서가 아메리카에 대해 언급할 때 아메리카 발견 이전의 마야, 아스테카, 잉카문화를 간략히 언급하고 유럽인의 진출 이후부터 상세히 기술한다. 이와 달리 시인은 아메리카의 시원에서 출발한다. 1부 ‘지상의 등불’ 편은 아메리카 동·식물, 강, 광물, 아메리카에 둥지를 튼 모든 부족들에 대한 연작시다.
이어 칠레인을 넘어 아메리카인으로서의 자신의 뿌리를 탐구하고 인류의 정의 구현을 염원하는 행동하는 지식인으로서 연대의 시어를 토해낸다. 예컨대 3부 ‘정복자들’편에서는 아르헨티나 독재자 로사스, 에콰도르 독재자 가르시아 모레노 등 스페인 정복자들의 악행을 조롱하고 4부 ‘해방자들’에서는 식민 지배의 역사에 맞선 영웅들의 활약상이 그려진다.
역사적 사실에 기초를 둔 서사시가 이어지는 시집은 6부 ‘아메리카, 나는 너의 이름을 헛되이 부르지 않는다’에서 마지막 편까지는 중남미의 현대사와 함께 한 굴곡진 개인사가 녹아있다.
“나는 죽지 않을 것이다. 나는 떠난다/ 화산으로 가득 찬 오늘/ 대중을 향해, 생명을 향해(중략) 나는/ 여기서/ 다시 나를 기다리고. 빛나는 손으로 내 문을 두드리는 말들, 민중, 길과 함께하겠다”(15부 ‘나는’ 중 ‘나는 살 것이다’).
체포령을 피해 안데스 산맥을 넘어 아르헨티나로 피신하며 그가 쓴 시로 대서사의 대미를 장식한다. 시대의 증언자를 넘어 역사의 증언자로 탈바꿈한 네루다. 이 시집을 통해 남미 원주민의 문화를 소화해 당대 민중의 삶과 접합시키며 시공을 초월한 대서사시를 완성한 것이라고 번역자 고혜경 전 교수는 해석했다.
손영옥 선임기자 yosohn@kmib.co.kr
[책과 길] 15부 252편으로 엮은 대서사… 국내 첫 완역
입력 2016-08-19 0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