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가 17일 강령 전문에 ‘노동자’ 문구를 유지키로 결정하면서 당권주자들까지 가세했던 ‘강령 논란’이 일단락됐다.
당 비대위는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회의에서 전당대회준비위원회가 강령에서 ‘노동자’와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등의 문구를 삭제키로 했던 안을 백지화했다. 비대위는 전준위 강령정책분과위원장인 민홍철 의원으로부터 보고를 받은 후 현재의 ‘노동자와 시민의 권리 향항을 위한 노력을 존중한다’는 표현을 ‘노동자, 농어민, 소상공인 등 서민과 중산층의 권리 향상을 위해 노력한다’로 수정키로 했다. 비대위는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설치’ 문구도 유지하기로 했다.
당 지도부는 강령 개정 문제가 애초 논란이 될 만한 일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전준위가 지금까지 비대위에 보고하지 않았기 때문에 강령 개정과 현 지도부의 의지는 무관하다는 것이다. 김종인 비대위 대표도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강령 개정이) 무슨 정체성 훼손이냐. 옛날 그대로 농민, 서민, 근로자, 농어민, 중산층 다 들어가 있는 것 아니냐”며 “그걸 두고 이런 저런 얘기를 하는 사람들이 이상한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이어 “당이 과거에 집착해서는 미래로 갈 수 없지 않느냐. 말하기 좋아하는 사람들이 항상 그렇게 시빗거리를 만드는데 어떻게 다 신경쓸 수 있느냐”며 불쾌한 감정을 숨기지 않았다.
강령 개정 문제는 비대위 결정으로 정리됐지만 당내에서는 향후 정체성·노선 갈등 본격화의 신호탄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전당대회 국면에서 당권주자들의 선명성 경쟁이 점차 격화되면서 차기 지도부와 당내 중도 세력 간 충돌이 촉발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당직자는 “그동안 김 대표의 강력한 통제 아래 눌려 있던 당내 정체성 갈등이 새 지도부 구성과 함께 폭발할 수 있다”며 “당권주자들이 모두 ‘선명한 야당’을 강조하고 있어 당분간 당의 ‘좌클릭’ 기조가 더 뚜렷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bi.co.kr
더민주 강령에서 ‘노동자’ 복원
입력 2016-08-17 1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