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우병우 특검·추경 심의중단” 與 압박

입력 2016-08-17 18:24
더불어민주당이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의혹에 대해 특별검사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파행을 겪고 있는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청문회(서별관회의 청문회) 증인 채택 협상에 대해선 추가경정예산안 심의 중단 카드로 압박했다.

우상호 원내대표는 17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파악해 본 결과 이석수 특별감찰관 조사활동에 진척이 없다고 한다. 각 부처 등에서 자료가 전혀 제출되지 않고 있다”며 “감찰활동이 사실상 무력화됐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 수석 의혹을) 검찰도 덮고, 특별감찰관도 제대로 못하면 특검을 통해 제대로 규명해야 한다. 여야 협상에 바로 착수하겠다”고 말했다.

서별관회의 청문회와 관련해선 협상 진전이 없을 경우 추경 심사를 중단하겠다는 ‘최후통첩’을 했다. 그는 “여당은 현직 기관장 외에는 채택하지 않겠다고 하고 있다. 구조조정 문제는 다 전직이 관련됐는데 그럼 상임위를 하지 왜 청문회를 하느냐”며 “선(先) 추경, 후(後) 청문회 합의는 정부가 추경안이 시급하다 해서 해준 건데 청문회를 진행 안 하려고 하면 우리도 (추경) 협조 못한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김성식 정책위의장도 “STX·대우조선해양에 들어간 16조원은 정부가 신용보증기금 3개를 만들어 60만개 중소기업을 지원할 수 있는 금액”이라며 “이미 5000만 국민이 1인당 32만원씩 이들에게 ‘부조금’을 지불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여당은 국민을 분노케 한 부실 원인을 밝히려는 건지, 덮으려는 건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한 언론이 보도한 이 특별감찰관의 SNS를 통한 감찰 내용 유출 논란도 도마에 올랐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우 수석을 감찰하는 특별감찰관마저 흔드는 음모가 있어 보인다”며 “도청, 해킹을 의심할 수밖에 없다. 우 수석 감싸기 위해 빅브러더 공포정치 시대가 시작되는 게 아닌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 감찰관은 입장자료를 내고 “해당 보도는 사실무근이며, 어떤 경우에도 SNS를 통해 언론과 접촉하거나 기밀을 누설한 사실이 없다”며 “사용했다는 SNS 종류를 밝히고 적법 절차에 의한 것인지를 해명하라”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