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대기업 총수나 최고경영자(CEO) 중 올해 상반기 가장 많은 보수를 챙긴 사람은 허창수 GS 회장이었다.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과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뒤를 이었다.
각 기업이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올린 공시를 보면 허창수 회장은 GS와 GS건설에서 각각 39억900만원, 13억1000만원 등 52억1900만원을 받았다. 정택근 GS 사장은 급여 4억2900만원, 상여 12억2400만원 등 16억5300만원을 받았다.
허 회장에 이은 2위는 정몽구 회장으로 현대자동차에서 24억원, 현대모비스에서 18억원 등 42억원을 받았다. 지난해 상반기와 같은 금액이다. 아들 정의선 부회장은 현대차에서 지난해 상반기보다 100만원 줄어든 6억6100만원을 받았다.
정 회장 다음으로는 조양호 회장이 41억1800만원으로 3위에 올랐다. 대한항공에서 18억1840만원, 한진칼에서 16억2540만원, 한진에서 6억7420만원을 받았다. 한국공항에서도 보수를 받았지만 등기임원이 아니라 공개하지 않았다. 등기이사로 있는 한진해운에서는 회사 사정을 감안해 보수를 받지 않았다.
재계 4위는 38억5000만원을 받은 구본무 LG 회장, 5위는 30억8000만원을 받은 이상철 LG유플러스 고문(전 대표이사 부회장)이다. 이 고문은 전문경영인으로는 유일하게 최다 보수 톱5 안에 들었다.
삼성전자에서 가장 많은 29억원을 받은 권오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은 6위에 올랐다. 지난해 상반기 보수 29억5000만원보다 5000만원 줄었다. 지난해 권 부회장은 연간 보수로 149억5400만원을 받아 그룹 총수를 모두 제치고 1위를 했었다. 삼성전자가 경영 실적을 반영한 성과금을 12월에 지급하는 영향이 크다.
삼성전자에서 가전사업을 담당하는 윤부근 CE 부문 사장은 16억4400만원, 스마트폰 사업을 맡은 신종균 IM 부문 사장은 16억5800만원을 받았다. 이상훈 최고재무책임자(CFO)의 보수는 12억1800만원에 달했다.
LG 계열에서는 한상범 LG디스플레이 대표이사 부회장이 14억6100만원, 박진수 LG화학 대표이사 부회장이 13억8200만원을 받았다. LG전자의 경우 조성진 HA사업본부장(사장)이 가장 많은 8억6400만원을 받았고 구본준 부회장 보수는 6억4300만원이었다.
재계 7∼10위는 각각 김창근 SK이노베이션 이사회 의장(25억500만원), 황인준 네이버 전 CFO(23억6600만원),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18억1200만원), 김상헌 네이버 대표이사(18억20만원)가 차지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
허창수 GS회장, 상반기 보수 52억1900만원 ‘최다’
입력 2016-08-16 22:06 수정 2016-08-17 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