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우상호 “강령 문구 조정하겠다”

입력 2016-08-15 18:06
강령 개정안 전문(前文)에서 ‘노동자’ 문구를 삭제해 홍역을 앓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이 이르면 17일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다시 문구를 조정키로 했다. 전문에 ‘노동자’가 복원되고 ‘서민’ 등 다양한 사회적 약자가 거론될 전망이다.

더민주 우상호 원내대표는 15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과거에도 강령 개정을 두고 격론이 벌어진 적이 있다. 하지만 이번엔 당 이념이 바뀐 게 아니라 표현상의 문제일 뿐”이라며 “문구를 조정하겠다”고 말했다. 우 원내대표는 논란 직후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로부터 보고를 받은 뒤 이 같은 방침을 전달했다. 조정 내용에 대해선 “몇 가지 문구를 추가하는 식으로 조정해 정리하면 된다”며 “노동자는 물론 서민 등 사회적 약자 등을 추가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준위 강령정책분과에서 담당한 강령 개정안은 당 지도부에 미리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종인 비대위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강령에) 뭐가 빠져서 대단히 큰 문제가 있는 것처럼 보도됐다”며 “17일 비대위에 상정한다고 하니 전반적인 보고를 받아보겠다”고 말했다.

당내에서는 강령 개정안에 대한 불만이 지속적으로 터져나오고 있다. 서울시당위원장 선거에 출마한 김영주 의원은 이날 간담회를 열고 “사회 양극화가 극심한 상황에서 노동자 단어를 강령에서 없애는 것은 잘못된 일”이라고 비판했다. 함께 참석한 최재성 전 의원은 “선진국 전당대회는 당 강령을 개정하는 게 하이라이트인데 우리는 한국정치의 특수상황 탓에 당대표 선출이 중심”이라며 “이런 문제가 당권에 따라 좌우되는 소모적, 비효율적인 당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는 신호”라고 말했다.

추미애 당대표 후보도 기자회견을 열고 “당 정체성을 흔드는 행위를 중단하고 당 강령 정책 개정안에 대한 폭넓은 의견수렴에 나설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또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설치 부분이 삭제된 것 등을 두고 “당의 기본 정신인 햇볕정책과 10·4 남북정상선언 정신을 부정하는 것”이라며 “전준위가 추진해 온 강령 정책 개정은 절차와 내용에서 큰 문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강준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