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잠룡 광복절 메시지 4인4색

입력 2016-08-15 18:04 수정 2016-08-15 20:59

야권 대선주자들이 15일 제71주년 광복절을 맞아 일제히 메시지를 내놓았지만 내용은 사뭇 달랐다. 일각의 ‘건국절 제정’ 주장부터 사드 배치 문제까지 첨예한 대립을 일으키고 있는 현안에 대한 각자 시각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페이스북에 올린 ‘진정한 광복’ 글에서 “요즘 대한민국이 1948년 8월 15일 건립됐으니 그날을 건국절로 기념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며 “역사를 왜곡하고 헌법을 부정하는 것이다.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스스로 부정하는 얼빠진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인천상륙작전 영웅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 동상이 있는 인천 자유공원은 3·1독립운동 이후 전국 대표와 종교 지도자가 모여 한성 임시정부 수립을 결의한 곳”이라며 “그 후 중국 상하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한성의 임시정부가 통합한 것이 대한민국 임시정부”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 헌법은 대한민국이 임시정부 법통을 계승한다고 명시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열흘간의 방미 일정을 마치고 이날 귀국한 국민의당 안철수 전 공동대표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강조했다. 그는 인천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제도적 측면과 관련해 미국 국립연구소와 한인 과학자들을 만나고 왔다”며 “독일과 미국의 상황이 달라 어떤 방식이 한국과 어울릴지 정리해보겠다”고 말했다.

그는 귀국에 앞서 페이스북에도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미국의 스마트팩토리, 독일의 인더스트리4.0 같은 국가 미래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굴욕적인 위안부 합의 철회, 국익 관점에서의 사드 배치 논의를 위한 국회 비준을 요구했다.

안희정 충남도지사는 충남 천안 독립기념관에서 열린 광복절 경축사에서 한반도 평화 완충지대를 비롯한 미·중·일의 동북아 외교 전략 변화를 촉구했다. 그는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은 평화 전략이어야 한다”며 “대한민국과 손잡고 한반도를 평화의 완충지대로 만들어나가자고 제안한다”고 말했다. 일본에 대해서는 “중국에 대한 불안감으로 미·일 군사 일체화를 통해 군사대국화를 시도하고 있다”며 제국주의 잔재에서 벗어날 것을, 중국에는 “힘으로 국제 문제를 해결하려 하면 모두가 불행해질 것이다. 약육강식, 패권추구의 시대는 끝났다”며 평화적 리더십을 각각 요구했다.

경북 성주와 가까운 대구가 지역구인 김부겸 의원은 사드 배치 반대에 방점을 찍었다. 그는 “성주에서 오늘 사드 배치 철회를 위한 삭발식을 한다. 당초 815명을 계획했지만 지원자가 넘쳐 900여명에 이르렀다”며 “이만치 무섭도록 간절한 목소리가 이전에 있었나 싶다”고 평가했다. 이어 “지금이라도 정부는 납득 가능한 근거를 국민에게 공개하고, 외부 세력 운운하며 성주를 고립시키지 말아야 한다”며 “반대하는 목소리를 경청하고, 설득하고, 대안을 고민하는 게 광복절 정신”이라고 주장했다.

강준구 문동성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