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순풍’에… 한·일 ‘독도 파고’ 높지 않다

입력 2016-08-15 18:14
새누리당 나경원 의원(가운데 하늘색 재킷) 등 국회 독도방문단 소속 의원들이 광복절인 15일 경상북도 울릉군 독도에서 독도사랑운동본부 회원들과 함께 태극기를 든 채 만세삼창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여야 국회의원들이 광복 71주년인 15일 독도를 방문했다. 일본 정부는 예상대로 강하게 반발했지만 한·일 관계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이다. ‘12·28 위안부 합의’ 이행을 위한 후속조치가 마무리 단계인 데다 박근혜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를 재천명했기 때문이다.

새누리당 나경원 의원을 단장으로 하는 국회 독도방문단 소속 의원 10명은 오전 8시쯤 헬기를 타고 독도에 도착했다. 새누리당은 나 의원 외에 박명재 성일종 강효상 김성태(비례대표) 이종명 윤종필 의원, 더불어민주당은 김종민 황희 의원, 국민의당은 장정숙 의원이 참석했다.

우리 국회의원이 독도를 찾은 건 2013년 8월 14일 새누리당 김을동 의원이 당시 당직자 30여명과 함께 찾은 이후 3년 만이다. 국회의원들은 만세삼창을 한 뒤 독도경비대를 찾아 대원들을 격려했다. 국토 서쪽 끝인 격렬비열도에서 동쪽 끝 독도까지 자전거와 배로 횡단한 ‘독도사랑운동본부’ 회원들과도 만났다.

행사를 주도한 성일종 의원은 독도에 다녀온 뒤 “독도는 자랑스러운 우리 영토”라며 “앞으로 이런 뜻 깊은 행사가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국회 차원의 협조도 약속했다”고 페이스북에서 밝혔다. 나 의원도 “일상화되는 독도에 대한 사랑과 관심을 지속해 나가는 것이 바로 독도를 지키는 일일 것”이라고 역시 페이스북에 올렸다.

일본 측은 반발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라면서 “즉각 한국 정부에 이런 뜻을 전하고 강력히 항의하면서 재발방지를 요구했다”고 말했다고 NHK가 보도했다. 가나스기 겐지(金杉憲治)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은 오전 11시 주일 한국대사관 이희섭 정무공사를 초치해 항의했다. 주한 일본대사관 또한 우리 외교부에 같은 입장을 전달했다. 일본은 지난 13일 국회의원 독도 방문 계획이 알려진 직후 외교 경로를 통해 항의했으며 이에 외교부는 “부당한 문제 제기”라고 일축했다.

다만 한·일 관계에 미칠 파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012년 이명박 전 대통령이 독도를 방문하면서 일본과의 관계가 결정적으로 틀어졌지만 당시는 위안부 문제 해결이 무산되면서 양국 관계가 이미 경색 국면을 맞던 때였다. 지금은 ‘화해·치유재단’ 설립과 일본 정부의 10억엔(약 108억원) 출연 등 12·28 합의 후속 조치가 본격화된 상황이어서 양국 모두 독도 문제를 쟁점으로 이어가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조성은 이종선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