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당권주자들이 당의 정책 비전을 담은 강령 개정안 전문(前文)에서 ‘노동자’ 문구가 삭제된 데 대해 일제히 철회를 촉구했다. 집권 전략과 야성(野性) 사이 파열음을 내고 있는 더민주 내 정체성 논란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김상곤 이종걸 추미애 당대표 후보들은 지난 13일 일제히 성명을 내고 강령 개정 철회 및 재검토를 촉구했다. 김 후보는 “노동문제를 외면하거나 경시하려는 어떤 시도도 정당화될 수 없다”며 “계급적 관점이 아닌 생활현장 관점에서 봐야 한다”고 비판했다. 추 후보는 “사회적 약자를 지키고 보호하며 대변해 온 70년 역사와 정체성을 스스로 부인하는 일”이라고 했다. 이 후보도 “강령정책 개정은 우리 당을 선택한 노동자들의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는 방향에서 준비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더민주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는 최근 기존 강령 전문에서 ‘노동자와 시민의 권리 향상’으로 적시된 당 지향점을 ‘시민의 권리 향상’으로만 기술했다. 이를 두고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 취임 이후 이뤄지고 있는 중도보수 지향 외연 확대의 일환이 아니냐는 당내 비판이 나왔다. ‘노동자’ 문구는 2012년 대선을 앞두고 한국노총과 정책연대를 하면서 넣었던 것으로 4년여 만에 삭제된 것이다.
이에 대해 전준위 강령정책분과 관계자는 14일 통화에서 “노동자는 계층적, 계급적 의미가 있는 단어다. 이제 그런 부분은 시대에 뒤떨어졌다고 본 것”이라며 “소상공인, 농민, 자영업자는 물론 노동자를 비롯한 모든 사람이 시민에 포함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은 성명을 내고 “강령 개정은 야당 몰락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며 강력 비판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노동자’ 강령서 삭제 더민주 개정안 파문
입력 2016-08-14 17:54 수정 2016-08-15 0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