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300명이 넘는 학생들이 서울대에 합격하고도 입학을 포기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주로 자연계열 학생들이 ‘졸업 후 미래’가 보장되는 의대 등으로 옮기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4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국민의당 이동섭 의원이 서울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서울대 합격생 가운데 등록 포기 학생은 346명으로 파악됐다. 특히 자연계열에서 ‘입학 포기’가 두드러졌다. 공대 입학을 포기한 학생이 12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자연대(48명), 간호대(33명), 농생대(27명) 등이었다. 사범대는 27명이 합격하고 등록하지 않았다.
반면 인문계열은 입학 포기자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인문대는 8명, 사회대는 5명, 경영대는 2명에 그쳤다.
이런 흐름은 최근 5년간 꾸준하다. 입학 포기자는 2012년 330명, 2013년 326명, 2014년 339명, 지난해 317명 등 매년 300명을 넘고 있다. 공대의 입학 포기자는 2012년 122명에서 2013년 135명, 2014년 136명, 지난해 136명으로 매년 늘고 있다.
자연계열 학생들이 ‘의대·치대·한의대’ 입학을 위해 서울대 등록을 포기했을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취업난까지 더해지면서 취업경쟁력을 갖춘 다른 상위권 대학의 ‘특성화 전공’을 택하는 학생도 잇따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범대 입학을 포기한 학생들은 임용고시 합격이 수월한 교대 등으로 이동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이사는 “서울대의 현재 입시 시스템이 순수학문을 전공하려는 의지가 있는 최상위권 학생을 제대로 가려내지 못하는 것은 아닌지 고민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
서울대 입학포기 매년 300여명… 자연계 최다
입력 2016-08-14 1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