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공포정치’ 기승… 올들어 60명 공개처형

입력 2016-08-13 00:17
북한이 올해 주민에 대한 공개처형을 늘리고 주민 단속기구를 부활시키는 등 7차 노동당 대회 이후 ‘공포정치’가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올 8월 현재 북한 당국은 60여명의 주민을 공개처형해 김정은 집권 이후 연평균 처형자 수인 30여명보다 배 이상 많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보 당국 관계자는 12일 이 같은 동향에 대해 “대체로 사실이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확인해줄 수 없다”고 밝혔다.

북한이 주민 대상 공개처형을 확대하는 것은 4차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이후 대북 제재가 극심해지면서 고조된 주민 불안을 다잡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당 대회 이전의 70일 전투에 이어 200일 전투까지 연이은 생산투쟁과 무리한 상납금 강요가 이어지면서 주민 불만이 증폭됐기 때문이다. 특히 북한 당국은 탈북민을 핵심 위협요소로 인식, 북한에 남은 탈북민 가족과 탈북 브로커들을 수시로 공개처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은 200일 전투 시작 전인 5월 말 보위기관에 “200일 전투는 사상전이므로 지시를 내려 사상전에 누락된 무직자들을 모두 잡아들이라”고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노동당 조직지도부가 중심이 돼 조직된 단속기관 ‘3·12 상무’가 주민등록상 거주지와 직장을 이탈한 주민들을 집중 단속해 강제노동에 투입하는 활동을 강화했다고 대북 소식통들은 전했다.

이처럼 북한이 당 대회에서 주창한 ‘휘황한 설계도’는 결국 ‘공포 정치’로 귀결되는 모양새다. 지난 3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채택 후 대북 압박 효과가 점점 가시화되는 것으로도 풀이된다. 북한 언론은 최근 대북 제재를 언급하는 빈도를 높이고 제재로 인한 어려움도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2일 “우리의 앞길을 가로막으려는 원수들의 발악은 더욱 악랄해지고 있다”면서 “전대미문의 제재와 봉쇄로 우리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 7일에는 양묘장 통합생산체계 개발 과정을 전하면서 “첨단 양묘설비들이 제재 항목에 오르고 엄청난 값을 부르며 거드름을 피우던 해당 나라의 제작회사는 순간에 자라목이 돼버렸다”고 했다.

정건희 조성은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