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미사일 막자”… 日, 사드도입 검토

입력 2016-08-10 18:05 수정 2016-08-10 21:35
북한의 미사일 위협이 고조되자 일본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도입을 검토하고 나섰다.

NHK는 10일 일본 방위성이 북한 미사일 방위 강화를 위해 한국 배치가 결정된 사드를 일본에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고 보도했다.

일본의 사드 도입 검토는 북한이 지난 3일 발사한 중거리 탄도미사일 노동미사일이 일본 서부 아키타현 오가반도 서쪽 250㎞ 지점 배타적경제수역(EEZ)에 떨어진 데 따른 것이다. 노동미사일은 최대 사거리가 1300㎞로 북한 동쪽 지역에서 발사되면 주일 미군기지를 포함해 일본 본토 대부분을 타격할 수 있다. 현재 일본에는 혼수 긴키지방 교토부 교탄고시 항공자위대 기지와 북서부 아오모리현 샤리키기지에 탄도미사일 추적을 위한 X밴드 레이더(TPY-2 레이더)가 설치돼 있다.

일본 방위성은 이와 함께 지대공 유도미사일 패트리엇(PAC3)을 조기에 확충키로 하고 관련 비용을 올해 2차 추경예산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NHK는 전했다.

사드 한국 배치에 중국이 거세게 반발하는 가운데 중국이 대북제재를 중단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스인훙 인민대 교수는 대만 왕보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은 사드 한국 배치에 맞서 군사적 억제력과 반공시스템 은폐성을 강화할 것”이라며 “전략적으로 대북제재를 중단하고 러시아와 준(準)군사동맹 수준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스 교수는 “중국 정부는 박근혜 대통령의 태도에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지 않는다”며 “중국은 차기 한국 정부의 입장과 여론 변화 추이에 주목하면서 외교정책을 정립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인민일보의 SNS 계정인 협객도는 이와 관련해 더불어민주당 초선의원 6명의 방중 관련 소식을 전하며 “한국은 4월 총선을 통해 여소야대 구도가 형성됐고 내년에는 대통령 선거까지 예정돼 있다”며 “앞으로 사드 문제를 둘러싼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보기]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