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당·대권 분리규정 개정” 밝힌 뜻은

입력 2016-08-10 00:18 수정 2016-08-10 00:28

국민의당 박지원(사진) 비상대책위원장이 대선 후보 경선 출마자는 대선 1년 전 모든 선출직 당직에서 사퇴해야 한다는 내용의 ‘당권·대권 분리’ 규정을 ‘대선 6개월 전’으로 수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손학규 전 상임고문, 정운찬 전 국무총리 등 대선후보급 외부 인사들이 당에 들어와 안철수 전 공동대표와 동등하게 대결할 수 있도록 ‘문호’를 개방하겠다는 얘기다.

박 위원장은 9일 전북 전주의 한 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안철수당’으로 고착화시켜나가면 (대선) 승리의 가능성이 굉장히 희박해진다”며 “손 전 고문, 정 전 총리 이런 분들이 홀가분한 마음으로 우리를 선택할 수 있는 문을 열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문호 개방 방법으로 ‘당권·대권 분리’ 규정의 개정을 내세웠다. 대선 6개월 전까지 선출직 당직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면 외부 인사들이 당대표로 국민의당에 진입해 최대 내년 6월까지 활동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긴다. 박 위원장은 “안 전 대표가 창당했고 모든 균형을 만들어놨으니 불리해서 못 오겠다고 할 수 있지만 그럼 당신들이 대표하라고 다 열어버린다는 것”이라며 “대표를 하면서 (안 전 대표와 경쟁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수 있지 않느냐”고 강조했다. 그는 손 전 고문과 이달 하순쯤 회동해 재차 영입을 제안해보겠다는 계획이다.

당권·대권 분리 규정에 손을 대는 것은 ‘고육지책’이다. 박 위원장은 지난해 더민주 문재인 전 대표와 당권을 놓고 맞붙었을 때 당권·대권 분리론을 강하게 주장하며 “당대표도 하고 대권 후보도 하겠다는 건 지나친 욕심”이라고 공격했다. 자신의 말을 번복하면서까지 외부 인사 영입에 공을 들이는 것은 안 전 대표와 경쟁하며 ‘시너지’를 낼 당내 대권 후보가 없다는 판단에서다.

박 위원장은 “안 전 대표와 아직 (구체적으로) 상의하지는 못했다”면서도 “열린 마음으로 다 내려놓는 것이 안철수답다’고 하니 그도 ‘알겠다’고 하더라”고 전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