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위안부 재단’ 출연금 용처 조율

입력 2016-08-09 18:13 수정 2016-08-09 21:19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한 국장급 협의를 위해 9일 서울 외교부 청사로 들어서고 있다. 정병원 외교부 동북아시아국장과 가나스기 국장은 일본 정부가 출연키로 한 재단 출연금 10억엔 거출 문제 등을 논의했다. 이병주 기자

한·일 양국이 위안부 피해자 지원 재단에 대한 출연금 거출 문제 등을 놓고 막판 조율에 들어갔다. 양측의 의견이 상당히 좁혀짐에 따라 이르면 이달 안에 자금 출연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병원 외교부 동북아국장과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은 9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국장급 협의를 가졌다. 한·일 양측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8시간 동안 마라톤협의를 이어갔다.

한·일 국장급 협의가 열린 건 지난달 28일 위안부 지원 재단인 ‘화해·치유재단’이 출범한 이후 처음이다. 한·일 양측은 일본 정부가 ‘12·28 위안부 합의’에서 약속한 재단 출연금 10억엔(약 108억원)을 언제 낼 것인지, 위안부 재단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 등을 놓고 집중 논의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위안부 재단 사업의 큰 방향과 일본정부 예산 출연 문제 등을 논의했다”면서 “양측의 의견을 심도 있게 논의했고 자금 출연 문제에 관해서도 상당한 진전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각각 상부에 보고하고 그 결과에 따라 후속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앞서 이번 협의 전부터 한·일 양국이 재단 출연금 용처를 두고 상당한 이견이 있다는 보도가 일본 언론을 중심으로 제기돼 왔다. 일본 측이 10억엔을 ‘미래지향적’으로 쓰기 위해 한국인 일본 유학생 지원금으로 쓸 수 있도록 요구할 방침이란 보도도 있었다.

이에 대해 외교부 당국자는 “출연금은 피해자의 명예 회복과 상처 치유를 위한 것이고 그런 목적과 관계없는 데 쓰는 건 생각할 수 없다”고 재차 선을 그었다. 이번 협의에서도 장학금 관련 보도가 언급됐지만 일본 측도 ‘그 출처가 어딘지 알고 싶다’고 반문했다고 한다.

소녀상 이전과 관련해선 한·일 양측이 기본 입장만 확인했을 뿐 구체적인 논의는 없었다고 이 당국자는 전했다. 일본 측은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독도 방문도 거론했으나 우리 측은 “독도는 우리 영토이므로 일본 측 언급은 적절치 않다”고 유감을 표명했다고 한다.

글=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사진=이병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