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견 여전한 한기총-한교연, 통합의지 보여야

입력 2016-08-08 21:11
한국교회 7개 교단장과 부총회장 등이 지난달 26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한국기독교총연합회와 한국교회연합의 통합추진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국민일보DB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대표회장 이영훈 목사)와 한국교회연합(한교연·대표회장 조일래 목사)의 통합 성사 여부는 1차적으로 주요 교단과 양대 기관의 의지에 달려있다. 이단 문제 해결과 양 기관 통합의 당위성에 대해서는 이들 사이에 이견이 전혀 없다. 하지만 구체적인 방법과 절차를 놓고는 크고 작은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단문제 해법=주요 7개 교단장은 한기총 7·7 개혁정관의 복원과 교단장회의 소속 24개 교단만 통합 총회의 회원으로 인정하는 방법으로 이단문제를 해결하자고 제안했다. 이 경우 이단이나 이단이 소속된 교단은 배제된다. 한교연의 이단 문제 해결 요구를 수용한 것이다. 세부 일정이나 절차는 보완이 필요하지만 방향 자체는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다. 한교연은 그러나 이 방안에 대해 제대로 된 찬반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대신 한교연이 논의과정에서 배제됐기 때문에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하면서 ‘선 이단문제 해결’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교연 관계자는 8일 “한기총이 이단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조건 통합을 외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한기총도 다르지 않다. 주요 7개 교단장이 제안한 안을 지지한다고 하면서도 ‘선 통합, 후 이단문제 논의’입장을 또다시 내놓고 있다. 박중선 한기총 사무총장은 “나는 뭐가 이단인지 잘 모른다. 다만 홍재철 전 대표회장 때 들어온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이단과 관련해 논의할 게 있다면 한기총 밖에서 하지 말고 안에 들어와서 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한기총과 한교연 모두 명분만 앞세우고 있는 한, 통합보다는 기득권과 주도권 다툼에 치중하고 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주요 교단장이 통합의 원칙과 로드맵을 제시한 만큼, 이에 대한 구체적인 입장을 제시해야 한다.

◇통합의지 있는지 의문=한기총과 한교연은 이단 문제 외에도 군소교단 포함여부, 통합 추진 방식에 대한 입장도 상이하다. 특히 한교연은 24개 교단 중심으로 통합논의가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으며, 회원교단이 아닌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합동, 기독교대한감리회 등이 통합문제를 거론하는 것에 불쾌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한교연 관계자는 “7개 교단장은 소속 교회 3000개 이상이거나 교육부 인가 신학교를 보유한 것 등을 기준으로 회원을 받자고 제안했다”면서 “이는 건전한 군소교단을 배제 또는 무시하겠다는 오만한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24개 교단 중심의 통합이 한교연이 요구해온 이단문제 해결의 방법으로 제안됐다는 점, 군소교단에 대해서도 통합 후 가입의 문호를 열어뒀다는 점을 무시한 것이다.

이 관계자는 또 “시간이 걸리더라도 자연스럽게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한교연의 공식안은 각 교단 총회에서 결의한 뒤 한교연 대표회장이 통합논의를 진행하는 점진적 통합이다. 당장의 통합은 고려하지 않고 있는 셈이다.

한기총은 7개 교단장이 제시한 방안을 수용하면서 통합을 촉진하기 위해 임직원들이 사표를 제출하는 등 특단의 조치를 취하는 데 대해서는 소극적이다. 박 사무총장은 “이 대표회장에게 통합논의를 일임하기로 결의했고 7개 교단장의 제안을 수용키로 했다”면서도 “모든 임직원이 사표를 제출하면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다”고 밝혔다.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