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신용평가기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8일 한국의 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한 단계 상향 조정했다. 신용등급 전망은 ‘안정적’으로 제시해 현재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면서 향후 2년간 이 신용등급이 변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S&P가 한국을 AA등급으로 평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말에는 무디스가 같은 등급을 부여한 바 있다. AA는 영국·프랑스와 같고 중국(AA-)과 비교하면 한 단계, 일본(A+)보다 두 단계 높은 등급이다. S&P가 한국의 신용등급을 올린 것은 지난해 9월 이후 11개월 만이다.
S&P는 “한국 경제가 최근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6% 수준으로 선진국의 0.3∼1.5%보다 높다고 분석하면서 2019년 한국의 1인당 GDP가 3만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또 한국 경제는 특정 산업 또는 수출시장에만 의존하지 않은 다변화된 구조를 갖고 있다고 평가했다.
S&P는 지속적인 대외건전성 개선도 신용등급 상향 조정의 요인으로 꼽았다. 한국 경제가 큰 폭의 경상수지 흑자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에도 GDP 대비 5%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충분한 재정·통화정책 여력도 신용등급 상향 조정의 배경이 됐다는 설명이다. 특히 변동금리 대출의 고정금리 전환 노력이 가계부채 위험을 완화하는 데 기여했다고 언급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브렉시트 결정, 미국의 금리정책, 중국 경제의 둔화 등 글로벌 위험요인이 상존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번 신용등급 상향으로 우리 경제의 대외안정성이 부각돼 시장안정에 기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S&P는 GDP의 약 25%에 해당하는 비금융 공공기관 부채가 재정의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의 자체 신용등급이 낮고, 비금융 공공기관에 대한 대출이 많다는 점, 통일비용 등 잠재적 채무와 북한과의 분쟁 등 지정학적 위험요소는 국가신용 등급의 취약요인이라고 꼽았다.
세종시=유성열 기자
S&P, 韓 신용등급 ‘AA’로 상향… 英·佛 수준
입력 2016-08-08 1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