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대마불사? 대우조선 ‘정상 등급’ 논란

입력 2016-08-07 17:38 수정 2016-08-07 21:26

지난해 5조원대 적자를 내고 분식회계 의혹까지 받고 있는 대우조선해양이 올해 대기업 신용위험 정기 평가에서 정상 경영이 가능하다는 B등급을 받았다. 2년 연속 B등급 판정이다. 부채비율이 각각 298%, 134%인 삼성중공업·현대중공업이 7308%인 대우조선과 같은 등급에 분류됐다.

기업구조조정촉진법상 구조조정 대상으로 분류되는 C·D등급에는 대기업 32곳이 선정됐다. 이미 자율협약을 진행 중인 한진해운·현대상선 및 법정관리에 돌입한 STX조선해양이 포함됐다. 전자업종 부문에서는 2년 연속 5개 이상 대기업이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됐다.

금융감독원은 7일 이 같은 내용의 대기업 신용위험 정기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C등급과 D등급 대기업이 각각 13곳, 19곳이었다. 신용공여(대출+보증) 500억원 이상 대기업의 부실 위험성을 평가한 결과다. C등급은 채권단 주도의 워크아웃에, D등급은 법정관리에 돌입한다.

구조조정 대상 기업의 총 자산 규모는 24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2011년 이후 최대 규모다. 총 신용공여액도 19조5000억원으로 지난 정기 평가 대비 12조4000억원(174.6%) 늘었다. 조선(6곳) 건설(6곳) 해운(3곳) 철강(1곳) 석유화학(1곳) 등 취약업종 기업이 전체 구조조정 대상 기업의 53%(17곳)를 차지했다. 구조조정 대상 기업의 전체 명단은 영업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이유로 2010년부터 공개되지 않고 있다.

홍익대 경제학부 전성인 교수는 “언제 상장 폐지될지 모르고 사실상 법정관리에 들어갔어야 하는 대우조선을 정상 등급으로 분류한 것은 한국판 관치금융이 만들어낸 코미디”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보기]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