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비리를 수사 중인 검찰이 정성립(66) 현 사장 체제에서도 1200억원대 회계 사기가 벌어진 혐의를 잡았다. 전임 사장들의 경영 비리를 수사 의뢰하고, ‘과거와의 단절’을 선언했던 현 경영진마저 대규모 분식회계를 저지른 것으로 드러난 것이다. 대우조선 경영 정상화 작업은 더욱 수렁에 빠지게 됐다. 수조원의 혈세를 투입하고도 관리·감독에 실패한 정부 책임론도 다시 부각될 전망이다.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은 5일 대우조선의 2인자인 김열중(66) 부사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전격 소환했다. 산업은행 재무부문장(부행장) 출신인 김 부사장은 지난해 3월 대우조선 최고재무책임자(CFO)에 선임됐다.
검찰은 대우조선이 올 1∼3월 2015년 회계연도를 결산하는 과정에서 영업손실 1200억원가량을 축소 조작한 사실을 확인했다. 자본잠식률 50% 초과에 따른 증권거래소 관리종목 지정을 피하고, 채권단 지원을 계속 받기 위해 조직적으로 회계장부에 손을 댄 것으로 보고 있다. 대우조선이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사업보고서에는 지난해 자본잠식률이 45.6%인 것으로 나와 있다. 그러나 영업손실 1200억원이 제대로 반영됐으면 전체 손실 규모는 3조572억원, 자본잠식률은 54.3%에 이르게 된다.
검찰 관계자는 “영업손실을 고의로 축소한 객관적 자료를 확보했다”고 말했다. 검찰은 회계 조작이 정 사장 보고 절차를 거쳤다는 실무진의 진술도 받아냈다. 정 사장에 대한 조사도 불가피한 상황이다.
검찰은 강만수(71) 전 산업은행장이 친이명박계 인사들을 대우조선 고문으로 앉혀 거액의 급여를 받도록 한 혐의(제3자 뇌물수수)도 조사하고 있다. 경영진 비위를 눈감아주는 대신 대우조선을 ‘논공행상’ 통로로 활용했다는 게 검찰의 판단이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
대우조선해양 현 경영진도 ‘회계사기’ 수사
입력 2016-08-05 17:56 수정 2016-08-05 2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