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중국 가겠다는 더민주 의원 지금은 때 아니다

입력 2016-08-05 18:20
더불어민주당 소속 초선 의원 6명이 고고도미사일방어(사드)체계 배치 문제와 관련해 현지 의견을 청취한다는 명분으로 오는 8일부터 2박3일간 개인 자격으로 중국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한다. 방중하는 의원들은 더민주 사드대책위원회 간사인 김영호 의원을 비롯해 김병욱 박정 소병훈 손혜원 신동근 의원이다. 모두 사드 반대론자들이다. 이들은 방중기간 베이징대 교수들과 좌담회 등을 열어 사드 배치에 따른 한·중 관계에 대해 의견을 나눌 계획이다.

중국 당국은 연일 언론매체를 총동원해 사드 반대 분위기 띄우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 입장 전달은 고사하고 중국 당국 입맛에 맞게 이용당하기 십상이다. 정책 결정에 절대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당 고위 간부나 정부 관료들도 아니고 학자들을 만나 의견을 교환하는 게 외교적으로 무슨 실익이 있는지 의문이다. 중국 관영 CCTV와 인터뷰했다는 김영호 의원은 “중국 언론이 반한 감정을 조장하는 기사를 쓰는 건 양국 국익에 도움이 안 된다는 취지로 발언했으나 CCTV는 사드 배치 결정 과정에 절차적 하자가 있다는 말만 부각했다”고 토로했다. 이렇게 중국 언론에 농락당하고도 중국행을 고집하는 이유를 도무지 납득할 수 없다.

초선 의원들의 돌출 행동은 국민의당의 신중한 행보와 극명하게 대비된다. 국민의당은 전략적 모호성을 견지하고 있는 더민주와 달리 일찍이 ‘사드 배치 반대’를 당론으로 채택했다. 중국 언론이 이런 국민의당 의원들을 가만 놔둘 리 없다. 그러나 국민의당 의원들은 일체의 접촉을 거부하고 있다. 중국 측 의도에 말려든다는 우려에서다. 비록 정부 결정엔 반대하지만 사드 배치는 우리 내부 문제이기 때문이다. 국익을 생각하는 정당이라면 이래야 한다. 더민주가 사드 관련 당론을 섣불리 정하지 못하는 것은 국가안보와 국익에 매우 민감한 사안이어서다. 당론도 정해지지 않은 마당에 불필요한 오해를 불러올 의원들의 개인행동은 자제돼야 마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