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이란에 실어보낸 4억 달러 현금 미스터리

입력 2016-08-04 18:19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이 2016년 1월 16일 오스트리아 빈 국제원자력기구(IAEA) 본부에서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AP뉴시스

미국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올해 1월 이란에 현금으로 4억 달러(약 4460억원)를 보낸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면서 후폭풍이 거세지고 있다. 미 정부는 이 돈이 1979년 이란이 무기를 사기 위해 미국에 송금했던 돈을 되돌려준 것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비슷한 때 이란에서 풀려난 미국인 인질 4명의 ‘몸값’이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3일(현지시간) WSJ에 따르면 미 정부는 올해 초 비밀리에 유로화와 스위스프랑화로 마련한 4억 달러를 나무상자에 담아 이란에 보냈다. 돈은 네덜란드와 스위스에서 인출됐으며 아무 표식이 없는 화물기로 이란에 갔다. WSJ는 이 돈이 지난 1월 16일 이란에서 석방된 워싱턴포스트 테헤란 특파원을 비롯한 인질 4명의 몸값이라고 지적했다.

미 정부는 이 돈이 1979년 이란혁명 직전 팔레비 정권에서 받은 무기대금 4억 달러의 원금과 이자를 합친 17억 달러(1조8950억원)를 돌려주기로 지난해 이란과 합의한 데 따른 합법적 송금이라고 해명했다. 17억 달러 중 1차로 4억 달러를 보냈다는 것이다. 미국은 이란혁명 뒤 무기를 인도하지 않았다.

하지만 WSJ는 “당시 몸값 논란으로 법무부까지 송금에 반대했지만 국무부가 송금을 강행했다”고 후속 보도를 내보냈다. 법무부는 현금이라 몸값으로 보일 수 있고, 자칫 ‘인질범에게 몸값을 지불하지 않는다’는 미국의 오랜 전통을 훼손할 수 있다면서 반대했다.

논란이 확산되자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대선후보는 트위터에 “무능한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4억 달러 송금 주장을 제일 처음 시작했다”면서 “또 다른 스캔들이 터졌다”고 공격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