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병원, 학교, 어린이집 등 집단시설에서의 결핵 감염이 잇따르고 있다. 집단시설 가운데서도 병원 의료진 전파로 인한 영·유아 등 환자 집단감염 사례가 최근 속출해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집단시설 감염은 2013년 3265곳, 3834명에서 지난해는 7250곳, 7973명으로 급증했다. 더 심각한 사실은 전 국민의 3분의 1 정도가 잠복결핵 환자로 추정돼 감염 확산 가능성이 무척 높다는 점이다. 잠복결핵은 당장은 전염성이 없지만 면역력이 약해지면 전염성 결핵으로 발병하는 것으로 그 비율은 10%선이다.
정부는 올 3월 ‘결핵 안심 국가 실행계획’을 발표하면서 잠복결핵 검사를 대폭 늘리겠다고 했으나 실효가 낮을 것이라는 지적이 많다. 수년째 연간 390억원대에 머무르는 예산으로는 제대로 대처할 수 없다는 것이다. 당장 4일부터 학교나 영유아 시설 종사자 등에 대한 잠복결핵 무료 검사가 시작됐으나 의료 종사자는 제외됐다. 예산이 부족해 1인당 8만∼10만원의 검사비용을 감당할 수 없다는 것이다. 병원에 따라 결핵 고위험 부서 근무 의료진에 한해 자체 비용으로 검사를 하는 실정이다.
2013년 한 해만 국내에서 2230명의 사망자가 발생할 만큼 결핵은 무서운 질병이다.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한 1996년 이래 부동의 결핵 발생률 1위국이다. 가장 큰 원인은 정부의 투자 미비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특히 1989년 이후 결핵 관리가 보건소에서 민간 의료기관으로 넘어가면서 추적 관리가 소홀했다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유병률이 높은 고령인구가 급격히 늘어나는 우리 현실에서 결핵은 ‘폭탄’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정부가 예산을 늘려서라도 결핵 감염을 막아야 하는 이유다. 검사 대상을 확대해 잠복결핵을 조기에 찾아내서 치료하면 궁극적으로 의료비 지출도 줄어든다. 결핵 후진국의 오명을 계속 안고 갈 수는 없다.
[사설] 예산 늘려 병원 등 집단시설 결핵 감염 막아야
입력 2016-08-04 19:29